부산경제진흥원이 지난 18일 진흥원 3층 글로벌라운지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조선·항만·물류 분야 주요 기업과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한 민관 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북극항로 개척 논의가 촉발시킨 글로벌 해양물류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해수부 이전을 지역 물류산업 도약의 계기로 삼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전략을 선제적으로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해수부 이전이 부산 해양·물류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살펴보고, 산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간담회에서는 부산경제진흥원 외에 유관기관 3곳과 조선·해양·항만·물류 분야를 대표하는 지역 기업 7곳이 참여해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공유하고 정책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해수부 이전에 따른 산업정책 컨트롤타워 역할 정립 ▲기업 지원 및 협업 체계 구축 ▲스마트·친환경 항만 인프라 조성 ▲정책 연속성과 지역 연계 확대를 위한 환경 조성 방안 등을 중심으로 심도 깊은 의견을 나눴다.
특히 북극항로 개척과 관련한 논의가 비중 있게 다뤄졌으며, 다수의 참석자들이 단순한 항로 확보를 넘어 실질적인 화물 유치와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산업계는 해양수산부의 지역 이전이 단순한 물리적 이전에 그쳐서는 안 되며, 항만과 해운에 한정된 권한을 넘어 보다 폭넓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북극항로 시대를 본격 대비하기 위해, 극저온 대응 기술 등 필수 분야의 R&D 지원 확대와 함께, 경제성을 고려한 유럽행 화물 확보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송복철 원장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지역 물류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화”라며, “진흥원은 민관이 함께 대응할 수 있는 협력 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분야에서 신규 사업을 발굴해 나가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진흥원은 이번 간담회를 물류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 산업 생태계 조성, 기업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모멘텀으로 삼아, 부산시와 협력해 관련 논의와 실천 과제 도출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