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조상진 의원(국민의힘, 남구1)이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해양 중심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파격적인 기업 유치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 의원은 “부산은 해양수산부 이전 논의, HMM 본사 유치 추진, 해사법원 설립 검토 등 해양 관련 국가 정책의 중심에 있지만, 실제 기업 유치를 위한 준비는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부산이 안고 있는 산업용지 부족, 높은 용지 가격, 고급 인력 수급의 어려움, 미흡한 정주 여건 등의 현실을 조목조목 언급하며 “직원들의 주거, 자녀 교육, 출퇴근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기업 유치는 말뿐인 구호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조 의원은 해운·항만 중심도시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부산시에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첫째, ‘글로벌 해운항만 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기초 마련이다. 그는 “이 특별법은 세제 혜택, 기업 이전비용 지원, 해양금융 활성화, 연구개발 지원 등을 포함해야 하며, 부산이 해운물류 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둘째, 산업용지 공급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과 교통 접근성이 뛰어난 저렴한 가용지의 신속한 확보를 주문했다. 조 의원은 “산업단지는 입지 매력과 실리 모두를 갖춰야 한다. 파격적인 조건으로 산업용지를 공급해 기업 전입 수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셋째, 기업 직원들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주택 특별공급, 기숙사 건설 등 주거 인프라 지원이 병행돼야 진정한 유치 전략이 완성된다”며 “단순한 재정적 인센티브로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정착을 보장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조 의원은 끝으로 “부산의 바다와 항만은 여전히 경쟁력 있는 자산이지만, 실행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기업은 부산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이야말로 창의적이고도 과감한 전략으로 반전의 계기를 만들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