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신규성 기자) DGIST는 31일 오후 3시30분 서울 마포구 라이즈오토그래프컬렉션에서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알려진 ‘궤도’의 기초학부 특임교수 임용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용은 과학기술의 대중적 가치 확산과 함께 DGIST의 융복합 교육 철학을 더욱 폭넓게 실천하기 위한 결정으로 ‘경계를 넘는 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DGIST의 방향성과 궤도의 철학이 맞닿아 성사됐다.
궤도는 “DGIST는 학부의 경계가 없어서 유연하다. 경계를 넘는 것, 바로 그게 이 시대에 필요한 태도다. DGIST의 무대는 한국이 아니라 지구”라며 “DGIST의 학생들이 △ 전공에 얽매이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 △ 과학기술을 넘어 사회·문화·예술과의 연계를 모색하는 창의적 인재 △ 기술을 통해 한국이 아닌 지구 전체를 무대로 삼는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돕겠다”고 밝혔다.
DGIST 이건우 총장은 “DGIST는 ‘융합형 인재 양성’을 핵심 교육 철학으로 삼고 있으며 이번 궤도 특임교수의 합류는 단순한 외부 인사의 영입이 아닌 우리 학생들에게 ‘융합적 사고’와 ‘세상과 소통하는 능력’을 체감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DGIST는 앞으로도 융합·창의·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궤도가 DGIST 특임교수로 임용된 배경에는 DGIST의 융복합 교육 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DGIST 기초학부는 전통적인 학과 중심의 학사 구조가 아닌 ‘트랙 기반 자율설계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모든 학생이 2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할 수 있으며 전공 간 경계 없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초과학, 공학, 인문사회 분야를 아우르는 폭넓은 기초교육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각자의 진로에 맞는 전공(트랙)과 복수전공 또는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자율트랙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연구와 인턴십, 글로벌 교류 등 실무형 교육을 적극 지원받는다.
이처럼 DGIST는 유연한 학사제도를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한편 궤도 특임교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강의하기보다는 멘토링 등을 통해 과학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과 진로 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DGIST는 이번 임용을 계기로 융합적 사고와 실천 역량을 갖춘 ‘DGIST형 인재’를 더욱 적극적으로 양성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