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난 7월 31일 한국보건복지인재원과 ‘감염취약시설 감염관리 교육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전국 최초로 지역 맞춤형 ‘부산형 감염관리 교육 시스템’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병원 등 이른바 ‘감염취약시설’은 코로나19 등 감염병 유행 시 큰 피해를 입은 곳으로, 종사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관련 교육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부산시는 감염에 취약한 돌봄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고, 감염병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기 위한 실무 중심 교육체계를 선도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이번 협약을 추진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부산시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은 감염취약시설을 위한 현장 중심형 감염관리 교육체계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시는 교육과 훈련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담당하고, 인재원은 교육 콘텐츠 개발, 강사 연계, 교육시설 제공 등 실질적인 운영을 맡게 된다.
교육은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부산교육센터에서 공공위탁 방식으로 연중 운영되며, 감염취약시설 방역관리자, 보건소 담당자, 감염관리 현장자문위원 등 다양한 실무 인력을 대상으로 맞춤형으로 진행된다.
특히, 실제 감염 사례 기반의 문제 해결형 교육과 가상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훈련, 응급상황 대응 실습 등 현장 밀착형 콘텐츠가 포함된다. 이론 중심의 기존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소규모(35명 내외) 집합교육을 통해 집중도와 교육 효과를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전국 단위의 전문 강사진을 활용한 수준 높은 강의도 제공될 예정이다.
부산시는 이 교육체계를 ‘부산형 감염관리 교육 모델’로 정립해 감염취약시설의 감염 대응 능력을 균일하게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 감염병 대응 안전망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더 나아가 향후에는 전국적인 표준 모델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시는 이번 교육과정을 기존 ‘현장 컨설팅 사업’과 연계해 ‘현장자문단’ 인력풀도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감염병 위기 상황에 즉각 투입 가능한 ‘현장자문위원 양성과정’도 함께 운영된다. 현장자문단은 감염취약시설을 방문해 감염 예방 체계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지역 기반 전문 인력으로 활동하게 된다.
이준승 행정부시장은 “이번 감염관리 교육체계는 지역 돌봄·의료 환경을 안전하게 바꾸는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365일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교육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고, 전국 확산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