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이 교육 사각지대 해소와 실질적 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 대상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 지원을 강화하고, 대안교육기관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지역 진로교육 생태계 활성화에 본격 나선다.
시교육청은 ‘온 마을이 함께 아이를 키우는 부산교육’ 실현을 목표로,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전방위로 확대하고, 교육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우선, 특수교육 대상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적응을 돕기 위한 ‘입학 적응 예비학교’를 대폭 확대 운영한다. 기존에도 입학설명회, 학부모 연수, 입학적응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 왔으나, 최근 예비학교 수요 증가에 따라 운영학교 수를 전년 대비 11개 늘린 35개교로 확대한다.
예비학교는 학교 시설 탐색, 수업 시간 체험, 또래 교류 등 실질적인 학교생활 적응 기회를 제공하며, 부산장애인복지관협회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실무협의를 본격화하고, 예산도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교육청은 대안교육기관 지원 확대와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체계적 지원도 강화한다. ‘대안교육기관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등록 대안교육기관 소속 청소년에게 생명·신체상의 손해배상 보험 또는 공제사업 가입비를 지원하고, 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비도 확대해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교육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부산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협의회, 부산시 등과 협력해 ‘학교밖청소년지원위원회’ 내 실무협의체를 신설하고, 맞춤형 정책 발굴 및 실행력을 높이는 협력 기반을 마련한다.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원도 강화된다. 하반기에는 ‘마을활동가 배움터 연수’를 4회에 걸쳐 운영하고, 지자체와 연계한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활동가들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16개 구·군에 설치된 진로교육지원센터의 운영도 확대한다. 진로체험처 발굴, 진로상담,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지역 진로교육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지원센터장협의회, 진로체험지원단,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유연하고 전문적인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
김석준 교육감은 “저출생 시대, 우리 아이들을 제대로 키워내기 위해서는 교육청과 지역사회가 힘을 합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강화해 공교육 안에서 누구나 소외되지 않고 실질적인 맞춤형 교육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