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잇따른 노후 아파트 화재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자 ‘재난약자 화재 예방 전담팀(TF)’을 출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종합적인 화재예방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전담팀은 시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14개 부서·기관이 참여해 3개 반 체제로 운영되며, 월 1회 정기회의를 통해 부산 실정에 맞는 화재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재난약자의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부산시는 돌봄 공백으로 인한 아동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아동돌봄 AI통합 콜센터’를 내년 중 개설하고, 야간 시간(오후 10시~익일 오전 6시)대 돌봄 인력 수당을 지원하는 예산도 긴급 편성했다.
또한, 주말과 공휴일에도 운영되는 ‘부산형 365 열린 시간제 어린이집’을 8월부터 10곳으로 확대하고, 내년에는 야간연장 어린이집과 시간제 보육기관도 각각 10곳 이상 확대 운영해 틈새 보육을 강화한다. 방과후 돌봄도 확대해 현재 26곳인 야간돌봄기관을 2026년까지 58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스프링클러 미설치 등 화재에 취약한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전수조사와 합동 점검도 추진된다. 오는 8월 말까지 3,004개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소방재난본부, 구·군, 전기안전공사,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긴급 화재 안전점검이 실시된다.
노후 아파트 인접 초등학교 252곳 중 208곳에 소방안전교육을 완료했으며, 나머지 44곳은 2학기 개학 후 교육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동시에 화재 우려 아파트 42개 단지에서는 주민 대상 소방훈련이 이달 말까지 실시된다.
시민 대상 화재예방 홍보도 강화된다. 멀티 콘센트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화재사례 및 대피 요령 등을 SNS, 유튜브 등을 통해 집중 홍보할 계획이다.
재난약자를 위한 안전용품 보급도 본격화된다. 총 17000세대를 대상으로 전기 안전 멀티탭과 단독 경보형 연기감지기를 보급하며, 2024년 5000세대, 2025년 12000세대를 대상으로 순차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세대, 노후 공동주택 거주 가구가 우선 대상이다.
또한, 부산도시공사는 임대아파트에 소화기를 지급하고 간이스프링클러를 시범 설치하며, 노후 아파트에는 목재 방화문 설치도 시범 실시한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사회복지관 34곳에는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설치를 추진하고, 어린이집, 복지시설, 요양병원 등에 대한 하절기 안전점검과 연 1회 대피훈련도 병행한다.
내년부터는 소방, 전기, 가스 분야 퇴직 전문가로 구성된 ‘화재예방안전기동단(가칭)’도 운영해 노인복지시설 등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상시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화재로 인해 단 한 명의 생명도 희생되는 일이 없도록 재난약자를 위한 촘촘한 정책과 실질적 대책을 빈틈없이 추진하겠다”며 “화재에 안전한 도시 환경과 함께 돌봄서비스 강화를 통한 사회 안전망 구축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