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는 5일 중견기업 매출 기준의 70% 이상을 달성한 부산지역 중견기업 후보기업 116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강소기업의 중견기업 도약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3.9%가 중견기업 진입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특히 “정책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는 점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으로 진입할 경우 가장 큰 부담 요인으로는 ▲세제혜택 축소(57.0%)가 압도적이었고, 뒤이어 ▲공공조달시장 참여 제한(15.1%) ▲노동·환경·안전 등 규제 강화(12.8%) ▲정책금융 축소(8.1%) ▲판로 지원 축소(4.7%) 순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이 되면 고용·투자·연구개발 등에 대한 세제 혜택이 줄고, 법인세 최저한세율 등에서 중소기업보다 불리한 조건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부산의 중견기업 후보군은 업종별로 제조업이 48개사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38개사) ▲건설업(18개사) ▲운수·창고업(8개사) 등이 뒤를 이었다. 자본과 설비 투자가 집중되는 제조업의 산업 구조상, 기업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이유로 풀이된다.
이들 기업 다수는 20년 이상 자생적으로 성장해 온 강소기업으로, 독자적 기술력과 경영 역량을 갖추고 있지만, 중견기업 진입에 따른 제도적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중견기업 성장 지원을 위한 정책 과제로는 ▲세제 혜택 확대(60.5%) ▲전용 정책자금 및 금융지원(31.4%) ▲규제 완화(5.8%) 등의 요구가 나왔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 중견기업 도약은 신뢰도 제고와 투자 유치 측면에서는 이점이 있지만, 정책적 지원 축소 부담이 그 효과를 상쇄한다”며 “성장까지 평균 20년 이상이 소요되는 만큼, 보다 실효성 있는 중장기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