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 공모 최종 선정

전기차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 전국 최초 실증 착수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8.07 14:32:32

서비스 구성도.(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한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 공모에서 시가 제안한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서비스 분야 중 블록체인 기술의 파급력이 높은 영역을 발굴·개발하는 국가 주도 사업이다. 부산시는 지난 2024년 11월 제안서를 제출한 이후 두 차례의 평가와 네 차례의 자문을 거쳐, 지난 7월 기술협약 체결을 통해 최종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의 전주기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실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배터리의 생산, 사용, 성능 점검, 폐기까지 전 생애 주기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부산이 블록체인 특화 도시로서의 위상, 항만·물류 중심 도시라는 산업적 기반, 그리고 배터리 국제 통상 규제 대응 전략 등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내 전기차를 대상으로 ▲충전·안전 ▲성능 점검 ▲이력 관리 등 세 가지 실증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관용차를 포함한 전기차 2500대를 대상으로 실증사업이 진행된다.

사업 예산은 총 34억6000만 원 규모로, 국비 26억 원과 민간 8억6000만 원이 투입된다. 부산시가 주관기관을 맡고, 부산산학융합원, 포항시, 한국전기차산업협회가 참여하며, 한국인터넷진흥원 평가를 통해 선정된 ㈜피엠그로우 컨소시엄이 사업을 수행한다.

사업의 핵심인 ‘배터리 여권 플랫폼’은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저장·관리하고, 배터리 여권을 발급해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블록체인 시스템 ▲배터리 여권 시스템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통합돼 운영된다.

시는 이를 통해 전기차의 안전성을 높이고, 배터리 및 데이터 기반의 연계 산업을 활성화해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지역 내에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향후 시행될 배터리 관련 국제 통상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이 배터리 여권 플랫폼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지역 내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내겠다”며, “배터리 데이터 통합 관리의 거점 지역으로서 산업 생태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