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수기자 |
2025.08.11 15:29:04
울주군 상북면 야산의 소나무에서 천연기념물 ‘솔부엉이’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길러내는 과정이 관찰됐다.
울산시는 지난 6월 19일부터 7월 16일까지 울주군 상북면 지내리의 한 배드민턴센터(이하 센터) 내 소나무 둥지에서 ‘솔부엉이’ 한 쌍이 새끼 2마리를 키우는 번식 과정이 관찰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관찰은 지난 6월 19일 센터 대표인 김상우 씨가 소나무에 둥지를 튼 솔부엉이 알 2개와 어린 새끼 1마리를 확인하면서 시작됐다.
앞서 김 씨는 지난 2022년에도 같은 소나무에 어린 솔부엉이 2마리가 찾아온 것을 관찰하고 기록으로 남긴 경험이 있었다.
센터로부터 연락을 받은 울산시는 같은 날 현장을 방문해 소나무 건너편에 앉아 있는 솔부엉이 암수 2마리를 확인하고 둥지 아래에 관찰카메라를 설치했다.
김 씨는 7월 2일부터 관찰카메라를 활용해 번식 과정을 관찰하기 시작했으며, 12일에는 야간에 어미 새가 둥지 근처로 나온 새끼들에게 벌레를 물어와 먹이를 전달하는 모습을 포착했다.
마지막으로 7월 16일 둥지 안에서 날갯짓을 하는 어린 새끼들의 모습이 관찰된 이후 자취를 감췄으며 빈 둥지는 청딱다구리가 새로 자리를 잡고 먹이 활동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솔부엉이(학명: ninox japonica 영어:Northern BooBook)는 올빼미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여름철새다.
4월 중순에 도래하여 번식하고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평지와 소나무숲에 서식하면서 낮에는 자고 어두워지면 활동한다. 주로 곤충을 먹는다.
둥지는 나무구멍에 만들고 3∼4개 알을 낳으며 암컷이 포란하고, 포란 기간은 25∼28일이다. 몸길이는 29cm 정도 되고 암수가 같은 색이다. 가슴과 배는 흰 바탕에 밤색 세로줄 무늬가 있다. 눈은 둥글고 노란색이다.
울산에서는 지난 2021년 7월 선암호수공원에서 윤기득 시민생물학자가 관찰했다. 올해 6월에는 울산 새(鳥)통신원 조현표, 조우진이 문수산 자락인 남구 정골 인근 소나무에서 관찰 기록하기도 했다,
짹짹휴게소 홍승민 대표는 ”솔부엉이는 둥지를 재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그 개체가 왔을 수도 있지만 표식을 하지 않아 알 수 없다“며 ”둥지를 한번 훼손당한 경험이 있는 개체는 떠났을 가능성이 높으며 새로운 개체가 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이 나무가 새들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에 있는 나무 임에는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에도 같은 나무에 솔부엉이가 다시 찾아오는지 관찰을 이어가고자 한다”며 “사람들과 관계 속에서 이어진 철새이야기가 있는 장소를 잘 보전해 새들이 계속 찾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