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초대작가전 장효진의 '응시(凝視)' 개막

말의 눈빛에 담긴 작가의 세상 보기

  •  

cnbnews 이병곤기자 |  2025.08.21 18:38:06

(사진=한국마사회 말박물관)

22일, 한국마사회 말박물관에서 장효진 작가의 초대전 '응시'가 막을 올린다.

 

화면 가득 힘이 느껴지는 말의 얼굴들로 채워진 이번 전시는 59년생 작가의 거칠고 단단한 인생과도 많이 닮았다. 말의 얼굴인데 작가의 자화상 같은 느낌을 주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인생의 절반 이상을 화가로 살아온 장효진 작가. 그는 과거를 회고할 때 자신의 예술 세계에 두 번의 큰 전환점이 있었다고 말한다.

 

첫 번째는 80년대에 미대 입학 후 민주화의 바람 속에서 사회 문제를 담은 작품들을 제작했다가 전시 중지와 작품 압수라는 냉혹한 현실과 마주했던 것이고, 두 번째는 결혼과 함께 생계전선으로 뛰어든 미술학원에서 어린이들의 그림이 가진 천진한 예술성을 발견한 것이다.

 

장효진의 작품 속에는 민중미술에서 볼 수 있던 강렬한 색과 굵은 선이 살아 있고, 아이처럼 대상을 느낀 그대로 표현하는 자유분방함도 엿보인다.

 

말의 초상 연작이라고 부를만한 이번 전시의 작품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표정이 모두 다르다. 특히, 기분 좋게 웃는 눈, 슬픈 눈, 때로는 날카로운 눈빛 등등 모두 다른 눈을 하고 있다. 웃는 눈 중에서도 어떤 것은 해맑고, 어떤 것은 처연하다. 세밀한 감정이 읽혀지는 것은 말과 작가의 교감이 깊었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작가는 렛츠런파크 서울 내 포니랜드에서 공방을 운영했던 이력이 있는데 코로나로 인해 방문객이 뚝 끊기면서 홀로 작업실을 지키는 동안 그를 매일 작업실로 이끌었던 것은 공방 옆에 자리한 마구간의 말 친구들이었다.

 

“아침마다 수강생 없는 공방으로 출근하면서 따로 챙겨 온 당근을 건네며 말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니 나중에는 직장 동료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고 운을 뗀 장 작가는 “많은 화가들이 가족이나 친구의 초상을 남기듯 저도 그들의 얼굴을 그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그렇게 시작한 작가와 말의 이야기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원숙한 작가의 시선이 담긴 이번 전시는 오는 9월 28일까지 열린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