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부발전은 26일 부산 본사에서 ‘AI·디지털 서비스 오픈 Day’를 열고, 공공기관 최초의 다목적 범용 생성형 AI ‘KEMI(Kospo Evolving Mind Innovation)’를 정식 오픈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AI디지털본부의 비전을 담은 영상으로 막을 올렸다. 이어 AI휴먼이 사회자와 실시간으로 대화하며 자신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남부발전은 향후 이 AI휴먼을 다양한 사내외 행사에서 아나운서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날 하이라이트는 김준동 사장이 직접 생성형 AI 플랫폼 ‘KEMI’에 1호 프롬프트를 입력하며 서비스 개시를 알린 순간이었다. 김 사장은 KEMI에 “한국남부발전이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3%로 확대하기 위한 종합 로드맵을 수립해 달라”는 지시를 내렸다. 프롬프트에는 태양광·풍력·수소·ESS 등 주요 기술별 투자 우선순위와 지역별 배치 전략, 정책 리스크 대응 방안, 탄소중립 목표와의 연계성 등이 포함됐다.
KEMI는 즉각적으로 정책 방향과 기술별 투자 전략, 지역별 최적 배치 방안 등을 정리한 로드맵 초안을 제시했다. 남부발전은 이를 통해 AI 기반 에너지 전략 수립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KEMI의 가장 큰 강점은 일반 상용 생성형 AI와 달리 내부 데이터를 외부 유출 없이 안전하게 학습·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발전 설비 운영 데이터, 에너지 정책 분석 자료, 내부 행정 프로세스 등 남부발전 업무 전반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 공공기관에 필수적인 보안성과 맞춤형 활용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평가다.
김준동 사장은 “KEMI는 공공분야 최초의 다목적 범용 생성형 AI이자 남부발전의 AI 전환(AX·AI Transformation)을 상징하는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도 AI 전환을 선도하는 대표 공기업으로서 국민에게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