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률 여전히 2%대…구매 목표제 도입 필요

부산경실련,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현황 조사결과 발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09.22 15:20:34

22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도한영 부산경실련 사무처장이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현황'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임재희 기자)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 구매율이 여전히 2%대에 머물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 취지에도 불구하고, 다수 기관들이 부산이 아닌 타지역 사회적경제 기업을 이용하면서 실질적인 파급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은 22일 부산시의회에서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경제 이용현황(2024년 기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을 포함하며, 지역문제 해결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부산시는 관련 조례를 통해 산하기관이 연간 구매액의 최소 5% 이상을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에서 구매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적은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지난해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경제 기업 이용금액은 총 620억 원으로 집계됐으나, 전체 구매액 대비 비율은 2.89%에 그쳤다. 2021년(2.64%) 이후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제도 목표치(5%)에는 한참 못 미친다.

특히 부산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 외면’이 두드러졌다. 이들 13개 기관의 사회적경제 총 이용금액 133억 원 중 부산지역 기업을 통한 구매 비율은 9.2%(12억 원)에 불과했다. 나머지 90% 이상(120억 원)은 타지역 기업에 돌아갔다. 한국남부발전은 이용금액 83억 원 가운데 93.5%를 타지역 기업에서 집행했고, 한국주택금융공사와 한국자산관리공사도 각각 75.3%, 95.8%를 타지역 기업에 의존했다. 반면 부산지역 사회적경제 기업 이용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57.4%)이었다.

부산항만공사와 부산대학교도 낮은 실적을 보여 대표 공공기관으로서 책임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부산항만공사의 사회적경제 이용비율은 1.1%에 그쳤고, 그중 부산지역 기업 비율은 20.5%였다. 부산대는 전체 이용금액 3억 원 중 사회적경제 기업을 통한 비율이 0.39%에 불과했으며, 부산지역 기업 비중도 6.3%에 머물렀다.

반면 기초지자체 중에서는 사하구(16.4%)와 수영구(10.9%)가 높은 이용비율을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부산경실련은 “공공기관들의 사회적경제 기업 이용이 정체된 상황에서 특히 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역업체 대신 타지역 기업을 주로 이용하는 것은 지역경제 선순환 효과를 가로막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관별 구매 목표제를 도입하고,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사회적경제 관련 배점을 상향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며 “지역 기업의 품질·규모 경쟁력 강화와 맞춤형 판로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