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진흥공사는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해상풍력 인프라금융 지원체계 구축 국회토론회'에서 해상풍력 인프라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금융 지원체계 구축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8월 22일 진행된 '해상풍력 인프라금융 지원체계 구축 간담회'의 후속 행사로, 당시 논의된 주요 현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해상풍력 개발사, 해운·항만사업자, 정책기관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해 국내 해상풍력 인프라의 안정적 생태계 구축 방안을 놓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이날 발제에서 한국풍력산업협회 최덕환 실장은 해상풍력 특수선박 기술 내재화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해외 기술 보유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산학 협력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 제도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제언을 내놨다. 한국선급 이상래 팀장 역시 “국내 기업들의 해상풍력 인프라 진입이 확대되고 있지만 특수선 운영 역량 보완을 위해 해외 기업과의 협업이 늘고 있다”며 “이러한 협업이 국내 기술 내재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패널토론에서는 해상풍력 인프라금융 지원체계 구축과 관련해 7대 과제가 제시됐다. 주요 내용은 ▲인프라금융 수요 로드맵 도출 ▲사업 및 금융 리스크 관리 ▲사업 가시성 확보 ▲국내 경험 부족에 따른 대안 마련 ▲카보타지 제도 대응 ▲어민 수용성 제고 ▲초기시장 촉진 인센티브 마련 등이다.
토론 직후 해진공은 ‘해상풍력 인프라금융 지원체계 구축 협의체’를 공식 출범했다. 협의체는 이날 논의된 7대 과제를 중심으로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업계 실무자들이 폭넓게 참여하는 실질적 논의 기구로 운영된다. 해진공은 단순한 의견 공유를 넘어 실제 수요·공급과 연계된 정책 제언까지 다루는 실효성 있는 플랫폼으로 협의체를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해진공 관계자는 이날 발표에서 “협의체는 7대 과제를 우선순위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업계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실행 가능한 마스터 플랜을 마련해 나가는 과정”이라며 “한국형 해상풍력 인프라 생태계를 단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것이 핵심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이번 국회토론회와 협의체 출범을 통해 해상풍력 인프라금융 지원체계 구축의 방향성에 대해 업계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해 해상풍력 인프라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