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희기자 |
2025.10.16 10:10:01
부산시는 도심 곳곳에 난립한 정당·상업용·행사용 현수막으로 어수선해진 거리 풍경을 정비하고, 도시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현수막 없는 청정거리’를 부산 전역 16개 구·군으로 확대 지정했다고 밝혔다.
‘현수막 없는 청정거리’는 시민과 관광객이 많이 찾는 주요 해수욕장과 교차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번 확대 지정으로 ▲광안리 해변로(수영구) ▲해운대·송정 해수욕장(해운대구) ▲내성교차로(동래구) ▲연산교차로(연제구) ▲부산역 앞 중앙대로(동구) 일원 등 16개 구·군 주요 구간이 새롭게 포함됐다. 지정 구간에서는 공공기관을 포함한 모든 현수막 게시물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즉시 철거된다.
부산시는 청정거리 지정 구간을 중심으로 정기 순찰과 상시 점검을 병행하며, 훼손되거나 무단 게시된 현수막은 발견 즉시 철거하는 등 상시 정비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불법광고물 기동정비반’을 상시 운영하고, 주요 도심과 관광지 일대를 중심으로 현장 점검을 강화했다. 또한 구·군별 광고물 정비반과 연계해 집중 단속이 이뤄지도록 관리 체계를 촘촘히 구축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거리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시는 정당과의 사전 협의를 통해 청정거리 운영 취지를 공유하고, 정치 홍보용 현수막이 시민 통행과 도시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자율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박형준 시장은 “정치 활동의 자유는 존중하되,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도시 질서를 지키는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야 한다”며 각 정당의 협력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부산시는 청정거리 운영 실적이 우수한 구·군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비율, 주민 만족도, 민원 감소율 등을 평가해 ▲전자 현수막 게시대 설치 지원 ▲시정 홍보사업 우선 선정 ▲업무평가 가점 부여 등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구·군의 자율적 참여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청정거리 운영이 단발성 정비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도시 관리 체계로 정착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확대 지정은 ‘현수막 없는 청정거리’가 도시 전역으로 확산되는 첫 단계이자, 생활권 중심의 광고 문화 개선을 위한 전환점”이라며 “구·군의 적극적인 참여와 시민들의 동참으로 지역마다 특색 있는 청정거리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