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태기자 |
2025.10.16 10:57:01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5일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인 구금 등 피해 상황과 관련해 “캄보디아 (수사 당국의) 단속에 의해 검거된 한국 국적의 범죄 혐의자 60여 명을 조속히 송환하는 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며 “이번 주말까지 송환이 이뤄지도록 노력해보려 한다”고 말했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진 위 실장은 이들 60여 명의 송환에 대해 “이들은 캄보디아 수사 당국에 검거된 사람들이기 때문에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무조건 한국으로 우선 데려온 뒤 이들의 혐의에 대해 한국 수사 당국이 수사를 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고 밝혔다.
일단 현지 수사 당국에 검거된 이들부터 송환해 조사한 뒤 범죄 조직에 억류된 국민의 구출 단계로 나아가겠다는 설명이었다.
위 실장은 “캄보디아 스캠(범죄) 산업엔 다양한 국적을 가진 20만 명가량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스캠 범죄가 이뤄지는 것”이라며 “한국인은 1천 명 남짓 속해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는 비자발적 가담자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캄보디아 당국의 단속으로 수천 명이 검거됐다. 1천 명 이상이 중국인”이라며 “한국인은 68명이었다가 일부 줄어 63명이 검거 상태라고 한다”고 했다.
63명에 대한 송환에 이어 현지 범죄 조직에 의해 감금된 한국인을 구출할 방안에 대해 위 실장은 우선 양국 수사 당국이 참여하는 ‘스캠 합동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캄보디아 측 20명에 한국 측 4명으로 팀을 이뤄 집중 작업을 할 예정으로, 향후 더 많은 범죄 혐의자를 검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코리안 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 설치도 지속 추진한다.
캄보디아 정부가 ‘한국으로 도피해 있는 캄보디아의 반체제 인사를 송환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 한국 정부가 협조하지 않기 때문에 양국 협력이 어려움을 겪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위 실장은 “그렇지 않다. 캄보디아 정부가 다른 목적을 갖고서 우리와의 협조를 회피하지는 않는다. 캄보디아 국가 자체나 국민에 대해 불필요하게 부정적 인식을 갖는 일은 멈췄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로 캄보디아에 대한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이에 대해 위 실장은 “ODA와 이 문제를 연관 짓고 있지는 않다. ODA는 그 사업 자체의 타당성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