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항 신항 서‘컨’ 2-6단계, 국산 자동화 컨테이너크레인 단계적 운송 개시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0.21 14:49:15

부산항 신항 7부두 자동화장비(컨테이너크레인과 무인이송장비(AGV)).(사진=BPA 제공)

부산항만공사(BPA)가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인 부산항 신항 서‘컨’ 2-6단계 현장으로 국산 자동화 하역장비인 컨테이너 크레인 블록을 단계적으로 운송한다고 21일 밝혔다.

장비 운송은 컨테이너크레인(Container Crane(C/C)) 1대를 3부분(상부, 하부, 하역부)으로 나눠 바지선을 통해 진행된다. 지난 15일 1항차 하역부 운송을 시작으로 2026년 6월까지 6대의 크레인을 18항차에 나눠 운송하며, 1항차당 약 9시간이 소요된다.

BPA는 지난해 4월 개장한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신항 7부두)인 서 컨테이너(이하 서‘컨’) 2-5단계 현장에 이어 2027년 하반기 개장을 목표로 서‘컨’ 2-6단계 부두 건설을 추진 중이다.

 

10월 15일 2-6 현장에 입고되는 컨테이너크레인 하역부.(사진=BPA 제공)

BPA는 2-6단계 현장 내 국산 자동화 하역장비 도입을 위해 사업비 1632억원을 들여 2024년 7월, HD현대삼호와 컨테이너크레인 6기 제작계약을 체결했다.

장비 제작사인 HD현대삼호는 전남 대불공장 제작장에서 크레인의 기초 구조물을 우선 제작 후, 이를 현재 임시 유휴상태인 북항 자성대부두로 운송해 크레인 블록을 제작 중에 있다. 자성대부두에서 조립된 컨테이너 크레인 블록은 신항 서‘컨’ 2-6단계 현장으로 운송돼 컨테이너크레인 완성품으로 조립해 시운전에 착수할 계획이다.

송상근 사장은 “최적의 제작공정을 위해 제작사 및 부두 운영사와의 긴밀한 소통을 거쳐 제작, 운송 및 조립, 시운전을 체계적으로 추진 중”이라며, “국내 최초 완전자동화부두인 서‘컨’ 2-5단계에 이어 2-6단계의 성공적인 추가 개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