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가 건물이 없는 시설과 공터에도 ‘사물주소판’과 ‘기초번호판’을 설치하며 시민 안전과 생활 편의 향상에 나섰다. 이는 행정안전부의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정책과 연계된 사업이다.
시는 도로·공원·공터 등 주소가 없던 공간에 고유 주소를 부여하고, QR코드 기반 위치안내 체계를 구축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는 어린이공원, 버스정류장, 비상급수시설 등 746곳에 사물주소판을, 도로변 862곳에 기초번호판을 설치했다.
또한, 시민 이용이 많은 북한산국립공원과 호수공원 자전거길 등에 기초번호판을 부착하고, 하천부지 등 지주가 없는 구간에는 바닥형 번호판을 시범 설치했다. 내년에는 자동심장충격기(AED), 무인민원발급기 등 629개 시설에도 사물주소를 부여할 예정이다.
주소판에는 QR코드가 함께 삽입돼 스마트폰으로 도로명주소와 지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112·119 문자신고 기능도 포함돼 있어 긴급상황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시는 “QR코드 기반 신고체계가 도로변이나 공터 등 주소정보 사각지대의 초기대응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시는 도로명판 1만547개, 건물번호판 5만1,027개, 기초번호판 3,227개, 사물주소판 2,979개 등 총 6만8,015개의 주소정보시설을 관리 중이다. 올해 일제조사 결과 훼손된 2,792개소를 즉시 보수·교체했으며, 표기 오류 등 시민 불편 요인도 함께 개선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정확한 주소정보는 시민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 행정의 기반”이라며 “생활편의와 안전을 모두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주소정보 관리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