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손윤호 기자) 이강덕 포항시장은 13일 대구스포츠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대구경북인터넷기자협회(회장 강승탁) 주최 ‘제2회 TK100포럼’에서 철강 산업의 위기와 글로벌 통상환경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중앙정부와의 협력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시장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철강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고 말했듯, 철강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산업”이라며 “현재 글로벌 철강시장은 미국, 유럽, 중국의 정책적 움직임으로 인해 심각한 불균형에 빠져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은 철강에 25~50%의 고율 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포항산 철강 등 한국산 제품은 여전히 50% 수준으로 인하될 기미가 없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국 철강기업인 US스틸을 살리기 위해 끝까지 강경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유럽연합(EU) 역시 일정 쿼터 안에서는 관세를 면제하지만, 물량이 제한돼 실질적 수출 확대가 어렵다”며 “국내 철강 수출의 30~40%가 유럽, 15%가량이 미국으로 향하는 만큼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중국산 철강의 국내 유입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중국 철강은 국가기업 중심으로 대량 생산·수출되고 있으며, 내수 부진으로 가격이 톤당 60~65만 원까지 떨어져 국내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며 “덤핑성 수출로 인해 포항 지역 건설현장에서도 중국산 철강이 사용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시는 중앙정부와 협력해 관세·통상 협상, 근로자 고용 유지, 기술 보호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철강 생산부터 1차·2차 가공, 완제품까지 전 공정에서 기술력이 확보돼야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부 차원의 광물·원자재 확보와 해외 투자 지원 등도 필수적”이라며 “중앙정부, 정치권, 지역 기업이 협력해 국제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 노력과 협상은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