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과 서울대학교는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탄소중립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에너지 혁신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탄소중립 이행, 재생에너지 확대 등 국가 에너지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서울대는 에너지의 생산부터 저장·변환·이용에 이르는 전주기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이니셔티브(Energy Initiative)’를 발족했으며, KERI와의 연계를 통해 공동 연구, 기술 교류, 인재 양성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양 기관 학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된 이번 포럼은 ‘탄소중립 시대의 미래 에너지 기술 전략’을 주제로, 관련 산업과 정책 전반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상호 핵심 기술을 공유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를 통해 미래 에너지 산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전략을 모색하고, 공동 연구 역량과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행사는 KERI 김남균 원장과 서울대 김영오 공과대학장의 개회사와 환영사로 시작해 광주과학기술원(GIST) 임춘택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의 기조강연으로 이어졌다. 임 교수는 ‘탄소중립 시대, 미래 에너지 정책 방향’을 주제로 “기후 위기가 현실화된 지금,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확충,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에너지 시스템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서울대 세션에서는 ▲김성재 에너지 이니셔티브 추진단장이 에너지 이니셔티브의 추진 배경과 주요 방향을 설명하며, 미래 에너지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의 전략적 대응 체계를 제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전체 방향을 기반으로 ▲한승용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KERI-서울대 에너지 이니셔티브 협력 방안’을 발표하며, 양 기관 역량을 연계한 지속 가능한 협력 구조 마련 및 공동 연구 확대, 인재 양성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다음 KERI 세션에서는 ▲이상호 전력망연구본부장이 ‘미래 에너지 산업 혁신을 견인하는 차세대 전력기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 본부장은 “재생에너지와 HVDC 기반 설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새로운 계통 환경에서는 AI 기반의 계통 해석·제어와 차세대 전력망 운영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말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계통 혁신의 중요성을 밝혔다.
포럼의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탄소중립 시대, 미래 에너지 기술 전략의 실행 과제와 대응 방향’을 주제로 다양한 의견이 논의됐다. 좌장을 맡은 김석주 KERI 연구부원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개별 기술을 넘어, 기술·정책·산업구조가 함께 변화해야 하고, 이를 위한 산·학·연 협력과 실행력 제고가 필수”라고 말했다.
김남균 KERI 원장은 이번 포럼에 대해 “전기·에너지 분야를 대표하는 교수, 연구자가 한자리에 모여 산업 현안을 공유하고, 정책·기술적 방향을 논의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양 기관 협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전략적 계기가 됐을 뿐만 아니라, 미래 에너지 분야 선도를 위한 공감대와 협력 의지를 다시금 확인하는 시간이 됐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