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호기자 |
2025.11.27 23:31:27
고양특례시가 로컬푸드 기반의 친환경 먹거리 체계를 본격 강화한다.
시는 오는 2026년부터 송포농협 2호점 개설을 포함한 지역 내 16개 로컬푸드 매장을 대상으로 친환경·저탄소 농산물 유통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주요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을 친환경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사업은 친환경 인증 농가의 납품 수수료를 전액, 저탄소 인증 농가는 90%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시는 이를 통해 생산비 증가와 인증 유지 비용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지역 농가의 부담을 덜고, 친환경 농산물이 로컬푸드 매장에서 안정적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유통 구조를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고양시는 지역 농업이 직면한 환경 변화를 이번 지원 사업의 핵심 배경으로 꼽았다.
고양시의 친환경 농산물 재배 농가는 농지 감소와 고령화, 생산비 상승 등 복합적 요인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친환경 재배 면적은 지난 2020년 175ha(177농가)에서 2025년 152ha(162농가)로 감소했다. 시는 이러한 흐름이 농업 기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관행 재배 농가의 친환경 전환을 돕기 위한 직접적인 유통 지원책을 마련했다.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 트렌드 변화도 시 정책 방향에 힘을 보탰다.
최근 학교급식의 친환경 전환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소비자 역시 생산 과정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으며 지역 친환경 농산물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시는 이번 지원책이 농가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로컬푸드 직매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시민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안전한 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고양시는 지역 농산물 안전성 강화를 위한 관리 체계도 대폭 손본다.
오는 2026년부터 로컬푸드 농산물에 대해 시범 운영했던 유전자 분석을 정례화하고, 잔류농약 검사는 기존 대비 2배로 강화한다. 이는 일부 지역에서 외지 농산물이 로컬푸드로 둔갑해 판매된 사례가 언론에 보도되며 시민 불안이 커졌던 점을 고려한 조치다. 시는 생산지 확인부터 검사 체계까지 전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 지역 농산물 신뢰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친환경 농가들도 이번 사업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많은 농가가 생산비 증가와 가격 경쟁력 약화로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며, 직매장 수수료가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시는 이번 지원이 농가 참여를 늘리고 지역 농산물의 생산·유통·소비가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드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친환경·저탄소 농산물 공급 기반을 계속 확대해 시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한 지역 먹거리 체계를 탄탄히 구축해 농가와 시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이번 사업을 지역 농업의 체질 개선과 탄소중립 실현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으며, 친환경 농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후속 정책도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