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직장인이 꼽은 꼴불견 상사 1위는? "자기만 옳다는 상사"

참고 넘어가는 경우 많지만 그 영향으로 이직 결심하기도

  •  

cnbnews 김대희기자 |  2010.11.25 09:28:50

직장인 10명 중 8명은 꼴 보기 싫은 상사와 근무하고 있었으며 그 중 자기 의견만 옳다고 주장하는 유형의 상사가 최악으로 꼽혔다.

25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자사회원인 직장인 1120명을 대상으로 “꼴 보기 싫은 상사와 근무하고 있습니까?”라는 설문을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84.7%가 ‘있다’라고 응답했다.

꼴 보기 싫은 상사의 유형은 ‘자기 의견만 옳다고 주장하는 상사’(50.7%)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무능력한 상사’(39.6%), ‘자기만 아는 이기적인 상사’(37.9%), ‘개선책 없이 꾸짖기만 하는 상사’(33.3%), ‘윗사람에게 아부하는 상사’(30.6%), ‘불가능한 일도 무조건 하라고만 하는 상사’(28.9%), ‘언어폭력을 일삼는 상사’(26%), ‘사사건건 참견하는 상사’(25.7%), ‘성과를 가로채는 상사’(24%) 등이 뒤를 이었다.

꼴 보기 싫은 상사가 미친 영향으로는 ‘이직을 결심하게 되었다’(43.5%)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애사심이 줄어들었다’(43.2%), ‘인내심을 키우게 되었다’(30.3%), ‘업무에 소홀하게 되었다’(28%), ‘소심, 난폭 등 성격이 변했다’(23.9%), ‘불면증, 우울증 등 신체적 질병을 겪었다’(16.9%) 등이 있었다.

직장인들이 꼴 보기 싫은 상사에게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79.2%가 ‘그냥 참는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말해도 바뀌지 않을 것 같아서’(35.6%)가 가장 많았다.

이 외에도 ‘업무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것 같아서’(16.5%), ‘버릇없는 직원으로 낙인찍힐 것 같아서’(6.9%), ‘인사고과에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6.1%), ‘이미 안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서’(6%) 등의 순이었다.

반면 꼴 보기 싫은 상사에게 불만을 참지 않고 표현하는 응답자들은(197명) 그 이유로 ‘상사도 고칠 것은 고쳐야 해서’(41.6%)를 첫 번째로 선택했다. 계속해서 ‘말을 해야 풀리는 성격이라서’(19.8%), ‘참으면 스트레스를 받을 것 같아서’(12.7%), ‘회사의 발전을 위해서’(12.7%), ‘이직할 계획이라서’(4.1%) 등이 있었다.

하지만 불만을 말한 후 긍정적으로 해결되기보다는 ‘상사와 사이가 멀어졌다’(39.6%)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한편 대리급 이상 직장인들 중 본인이 꼴 보기 싫은 상사인지 묻는 질문에는 76.7%가 ‘해당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