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안짱걸음 걷는 우리 아이, 혹시 안짱다리?

  •  

cnbnews 최은화기자 |  2011.02.17 18:39:34

영준(7세, 가명)이 엄마는 이번 설 연휴, 영준이에 대한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오랜만에 영준이를 본 친척들로부터 영준이의 걸음걸이가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이 시작이었다. 이 말이 계기가 되어 친척 아이들과 영준이의 걸음걸이를 유심히 관찰한 결과, 확실히 영준이의 걸음이 이상했다.

매일 아이의 모습을 보는 엄마 눈에는 영준이의 문제가 눈에 보이지 않았던 것. 정보수집 끝에 영준이의 문제가 ‘안짱걸음’ 이라는 것을 알아내고 여기저기 인터넷을 뒤져 어린이 청소년의 보행문제와 휜다리 등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소아하지교정 전문병원, 아이레그의원을 찾았다.

보행이상의 원인을 찾기 위해 고관절 가동범위검사, 경골염전각도검사, 거골하관절 가동범위검사 등 19가지 전문 검사가 이어졌다. 검사 후, 영준이에게 내려진 진단은 경골(정강이뼈)이 안쪽으로 돌아간 ‘경골내염전’과 ‘유연성 평발’. 다행히 치료 시기가 늦지 않아 다리 교정기와 평발교정 발 보조기를 맞추는 것으로 영준이 엄마는 치료를 시작했다.

“추석이나 설 연휴가 끝나면 문의전화와 예약이 늘어난다. 오랜만에 가족, 친지들이 모이면 아이의 모습이 화제가 되는데 그 과정에서 부모님들이 놓치고 있던 아이의 이상을 발견하게 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이의 다리모양이나 걷는 모습이 이상하면 풍부한 임상경험이 있는 소아족부, 하지 전문가를 찾아 치료가 필요할지, 조금 더 기다려 보는 것이 좋을지를 조언을 얻는 것이 좋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라면 빨리 시작할수록 치료기간이 단축되고 치료효과도 크기 때문이다. “ 고 아이레그의원 송동호원장은 말한다.


아이의 휜다리나 보행의 문제는 성장과정에서 자연히 좋아질 거라 생각하여 방치하는 부모님들이 많다. 하지만 좋아지기 보다는 오히려 악화되어 치료시기를 놓친 후 병원을 찾아 더 나빠진 상태에서 치료를 시작하게 되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교정시기를 놓쳐 수술 외에는 방법이 없을 때 병원을 찾는 안타까운 환자들도 있다. 원인 별로 치료의 적기가 있기 때문에 이를 놓치지 않도록 이상이 관찰되면 바로 안짱걸음, 팔자걸음, 까치걸음, 휜다리, 평발 등을 전문으로 하는 소아하지교정 전문 병원을 찾아야 한다.

다음은 아이의 걸음걸이가 이상할 때 현재 하지의 상태를 가정에서 간단히 확인해 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이다. 안짱걸음, 팔자걸음, 까치걸음의 원인이 되는 하지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1. 다리를 어깨 넓이만큼 벌리고 똑바로 세우거나 앞으로 걷게 한다. 서 있을 때나 보행 시 무릎 뼈가 중앙에 있어야 하는데 안쪽이나 바깥쪽을 향한다.
2. 무릎을 편 상태로 아이를 똑바로 눕힌다. 발목 부분을 잡고 안쪽과 바깥쪽으로 다리를 돌려본다. 안쪽이나 바깥쪽 양쪽 모두 돌아가는 각도가 같아야 하는데 어느 한 쪽으로 더 많이 돌아간다. (6세 이전에는 바깥으로 돌리는 것이 안쪽으로 돌리는 것보다 많이 돌아가야 한다. 만 6세 이후에는 양쪽이 같아야 정상이다)

3. 무릎을 펴고 천정을 향해 똑바로 눕힌다. 누운 아이의 발끝이 똑바로 위를 향하거나 약간 바깥쪽을 향하여 바깥쪽 복사뼈보다 안쪽 복사뼈가 더 잘 보여야 하는데 반대로 발끝이 안쪽을 향하여 안쪽 복사뼈보다 바깥쪽 복사뼈가 더 잘 보인다.

4. 발 뒷부분의 중앙선을 잇는 선이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 사이를 지나야 정상이다. 이 선을 벗어난다. 특히 중앙선이 두 번째와 세 번째 발가락 사이보다 외측을 지난다.

5. 똑바로 누워 발끝을 뒤쪽(몸쪽)으로 밀었을 때 정상 성인의 경우 10도 이상 몸쪽으로 구부러지며 어릴수록 더 많이 구부러지는데 밀어도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

6. 양발을 11자로 발뒤꿈치를 땅에 붙인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완전히 쪼그려 앉을 수 있어야 하지만 쪼그려 앉을 수가 없어서 엉덩이가 들리거나 발뒷꿈치가 들린다.

위의 6가지 체크리스트 중 한가지라도 해당되면 안짱걸음이나 까치걸음, 팔자걸음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때는 전문의를 찾아 보행이상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휜다리, 보행문제의 치료는 빠를수록 치료기간이 짧고 효과도 높기 때문이다.

도움말: 송동호원장 / 아이레그의원(www.i-leg.co.kr)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