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CJ대한통운)
코일 컨테이너는 일반 화물용 컨테이너에 비해 30% 더 두꺼운 재질을 사용해 무거운 철 코일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했고, 컨테이너 하부를 요람(Cradle) 형태로 만들어 철 코일이 자연스럽게 안기는 형태로 실릴 수 있게 제작됐다.
또 하부에는 코일 제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무 재질을 덧댔으며, 컨테이너 상부가 여닫히는 오픈 탑(Open-Top) 형식으로 적입·적출 작업이 편리하다.
기존에는 철 코일제품을 수출할 때 화물선에 그대로 쌓는 형태로 선적하거나 일반 컨테이너에 넣어서 선적했었다. 하지만 일반 컨테이너를 활용해 코일을 운송할 경우 항해 중 안정성과 화물 손상이 문제가 제기됐다.
CJ대한통운은 코일 컨테이너 도입으로 화물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돼 운송 중 파손율이 혁신적으로 낮아졌으며, 기존에 15~30분 이상 걸리던 컨테이너 적입 작업 시간이 기존 대비 30% 정도인 5~10분으로 대폭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력과 장비도 25% 덜 투입할 수 있게 되면서 작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불필요한 작업 단계를 줄일 수 있게 되면서 물류비용 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작업시간 단축과 화물 납기 정확도 향상으로 제조사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
CJ대한통운은 현재 약 350대 정도의 코일 컨테이너를 운영, 기업이나 선사들의 좋은 반응을 얻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라며 앞으로도 기술과 프로세스 혁신을 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NB=이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