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광주광역시장 후보 경선방식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무슨 이유가 있는 걸까?
선거일정상 이번 주 안에 경선방식이 확정되지 않을 경우 중앙당이 발표한 4가지 방식 중 택할 수 있는 선택폭이 좁아져 자칫 후보들이 경선방식을 두고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이 성립된 광주의 경우를 감안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시민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는 공정한 경선방식을 하루빨리 결정해야 한다.
광주 여론을 감안할 때 전략공천에 대한 당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100% 공론조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공론조사를 위해서는 선거인단 모집을 위한 여론조사 기관 선정과 선거인단 선정 절차, 개별통보, 투표 등의 과정이 필요해 이번 주 내에 경선방식이 확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전남지사의 경우 지난 21일 ‘국민여론조사 50%+공론조사 50%’로 확정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광주의 경선방식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두고 지역 정가에 떠도는 소문은 '지도부가 특정후보를 염두에 두고 있어 경선방식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는 특정후보를 위해 자칫 공정하지 못한 경선방식을 꺼낼 경우 여론의 역풍과 다른 두 후보들의 무소속 출마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우려해 이도저도 결정을 못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정후보를 염두에 둔 경선방식이 결정된다면 '새정치'를 염원하는 시민들과 경선에 참여하는 후보들의 반발로 경선 파행은 물론이고 당의 존립에도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당 지도부의 의중이 무엇이든 간에 지역 국회의원 5명이 특정 후보 지지를 선언한 배경을 두고도 '당 지도부의 입김 없이 지역 국회의원들이 특정후보 지지를 했겠냐'는 것이 지역 여론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합당의 댓가로 지분나눠먹기식 전략공천의 미련을 하루속히 접고 합당 창당이념에 맞는 '새정치'를 위해 공정한 경선방식을 통해 광주시장후보를 결정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주시민의 '새정치 염원'을 결코 쉽게 생각하거나 저버린다면 2018년 정권창출은 애당초 물거품처럼 사라질 것이다. 광주시민이 더 이상 들러리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