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현지시각)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세빗 2015에서 홍원표 삼성전자 사장이 ‘엔터프라이즈 Io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 삼성전자)
‘세빗’은 1986년 시작해 매년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고 있는 글로벌 B2B 전문 전시행사로, 올해에는 삼성전자, IB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SAP, 화웨이 등 4000여 개 사가 전시에 참여하고 21만 여명이 행사장을 찾을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유통, 교육, 의료, 물류, 호텔, 금융 등 B2B 6대 분야, 50여 개 협력사의 솔루션을 포함한 총 90여 개의 솔루션을 선보이고 산업 분야별로 적용된 솔루션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특히 IoT기술을 적용한 기업의 사무실과 유통 매장 체험 공간을 마련, 미래 기업 환경을 제시했다.
IoT 기술을 도입한 사무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사무실에 들어오는 순간 자동으로 조명이 켜지고 PC 네트워크와 스마트폰 보안이 활성화된다.
유통 매장 체험 공간에서는 제일모직의 패션브랜드 ‘빈폴’ 매장에서 성공적으로 상용화한 ‘디지털 유통 솔루션’을 선보였다.
전자태그(RFID)를 활용한 ‘디지털 유통 솔루션’은 고객이 옷을 집어 드는 순간 매장 안에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옷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등 효율적인 매장 운영이 가능하며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독일 폴크스바겐사와 함께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솔루션도 시연했다.
이 솔루션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S6’와 폴크스바겐의 대표 중형 세단인 ‘파사트’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연결, 운전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차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활용한 다양한 모바일 헬스 솔루션도 선보였다.
▲16일(현지시각)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세빗 2015에서 홍원표 삼성전자 사장(사진 앞줄 왼쪽 첫번째)과 시그마 가브리엘 독일 부총리(사진 앞줄 왼쪽 두 번째)가 삼성전자 전시 부스를 돌아보고 있다(사진 제공: 삼성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