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공부하는 ‘이청수’ 서울시의회 전문위원

서울시의회 전문위원 ‘지방의회론’ 펴 내

  •  

cnbnews 차영환기자 |  2008.03.11 19:11:15

광역지방자치단체 의회의 전문위원이 약 500쪽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의 지방의회 연구서를 내놓았다. 화제의 책은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의 이청수 전문위원(57세 사진)이 이달에 펴 낸 ‘지방의회론’이다.

이 책은 이 전문위원이 그간 서울시의회의 상임위원회 전문위원으로 재직해 오면서 체득한 각종 실무경험과 행정학 박사학위 취득 이후 계속 관심을 갖고 연구해 온 지방의회 운영 관련 이론을 집대성한 결과물이다.

이 전문위원은 지방의회가 의정활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제도 전반과 의회조직, 회의운영, 각종 의안심사 및 행정사무감사 기법 등을 지방의원뿐만 아니라 지방의회 직원, 집행부의 의회 관련 업무 담당직원들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한다.

1991년 지방의회가 부활한 이후 제도 면에서나 운영 면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지만 2006년 7월에 개원한 5기 지방의회가 출범하면서는 상임위원회 구성의 자율화, 회기운영 자율화, 의원유급제 도입 등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에 이 전문위원은 그동안 지방의회의 의사운영에 직접 참여하면서 이해당사자들과의 토론 등을 통해 체득한 생생한 경험과 지식을 정리하면서, 향후 전개될 지방분권시대에 있어서의 지방의회의 위상 변화와 그 과정에서의 지방의회의 역할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전문위원은 1997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시의회의 내무·행정자치·운영·교육문화 등 여러 상임위원회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해 오면서 왕성한 학구열을 보여 1986년에는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타 광역의회와 기초의회에서 개최한 각종 세미나, 의원연수회 등의 강사로 초청받아 의정활동과 의사운영에 관한 최신의 이론을 전파해 오면서 대학 출강, ‘자치의정’, ‘월간 자치행정’ 등 지방자치 전문지에의 기고 등을 통해, 지방의회 관련 문제를 이론에 그치지 않고 의정현장에서 직면하는 특정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다루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