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마케팅부문장 남규택 부사장과 모델들이 7일 KT 광화문 West사옥에서 '데이터 선택 요금제' 출시를 기념하며 요금제를 소개하고 있다(사진 제공: KT)
KT는 7일 광화문 West 사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최초로 2만원 대의 최저 요금으로 음성 통화를 무한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선택 요금제’를 8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4년 월 10만원에 음성통화를 무한 제공했던 ‘무제한 정액 요금제’와 비교하면, 약 10년 만에 70% 저렴해진 가격이다.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모든 요금 구간에서 음성을 무한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 제공량만 선택하면 된다. 최저 요금인 299요금제에서 499요금제까지는 통신사 관계없이 무선간 통화가 무한으로 제공되며, 549이상의 요금제에는 유무선간 통화가 무한으로 제공된다.
5만원대 요금제 이상에서는 유무선 통화뿐 아니라 데이터도 무한으로 제공된다. 기본 제공량을 다 쓴 이후에도 1일 2GB가 속도 제한 없이 제공되며, 2GB 소진 시에는 최대 3∼5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무한 이용할 수 있다.
그간의 요금제는 음성·문자·데이터 사용량을 모두 고려하다보니 음성통화가 지나치게 많은데 데이터는 조금 쓰거나, 반대로 데이터는 많이 쓰지만 음성통화는 거의 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음성과 데이터에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KT는 새로 공개한 ‘데이터 선택 요금제’가 ▲음성·문자가 무한으로 제공되므로 데이터 이용량 기준으로 보다 합리적인 요금제 선택이 가능하고, ▲작년 11월 KT가 선보여 호응을 얻고 있는 ‘약정과 위약금 없는’ 순액 구조로 고객들이 이해하기 쉽다고 설명한다.
KT는 특히 “미국(버라이즌, 구글) 등 해외 사업자가 1GB당 데이터 요금을 구간에 따라 약 1만원으로 설정한 것에 반해,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5000원 이하로 설계되어 더욱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7일 KT 광화문 West사옥에서 ‘데이터 선택 요금제’ 출시를 발표하는 KT 마케팅부문장 남규택 부사장(사진 제공: KT)
‘밀당’은 기존 KT에서만 제공하던 데이터 이월하기(‘밀기’)에 더하여 다음 달 데이터를 최대 2GB까지 ‘당겨’쓸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고객은 ‘밀당’기능을 통해 남거나 부족한 데이터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기본 제공량 대비 최대 3배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KT는 ‘데이터 선택 요금제’의 도입으로 1인당 평균 월 3590원, KT LTE 고객 1000만명 기준 연간 총 4304억원의 실질적인 가계 통신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KT 마케팅부문장 남규택 부사장은 “KT는 단통법 도입 이후, 작년 11월 순액요금제 단독 출시 등 고객의 실질적 체감혜택 확대를 선도해 왔다”며, “이번에 선보인 ‘데이터 선택 요금제’는 2만원대로 음성·문자 무한 사용은 물론, 데이터만 선택해 최적의 요금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계 통신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KT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발표하자,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비슷한 방식의 요금제를 내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시청 등이 늘어나는 등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반영해 2만원대 무제한 요금제를 비롯한 미래형 요금제를 다음 주에 선보일 계획이다.
SK텔레콤도 현재보다 요금이 대폭 인하되고 혜택이 늘어나는 데이터 중심의 새 요금제 출시를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 주무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와의 인가 협의를 마무리하는 대로 이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