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정부·여당, ‘포털뉴스이력제’ 도입 주장…포털업체들 “편향 없다”

야당 의원들 “여권이 포털 길들이기 나섰다” 반발

  •  

cnbnews 정의식기자 |  2015.10.08 17:47:43

▲이병선 카카오 이사(왼쪽)와 윤영찬 네이버 이사가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에서 포털 뉴스와 관련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정부와 새누리당이 포털 뉴스의 유통 경로를 상세히 공개하는 내용의 ‘포털뉴스 유통이력제’ 도입을 강력 시사하자, 포털업체들이 “현재 공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의원은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서 김종덕 문체부 장관에게 “포털뉴스 유통이력제 도입을 검토할 것이냐”고 물었고, 김 장관은 “네”라고 답했다.

박 의원은 “도입 문제를 검토한 결과를 다음 주까지 보고해달라”고 주문했고, 이에 대해서도 김 장관은 “네”라고 답했다.

‘포털뉴스 유통이력제’란 포털이 언론사의 기사를 배치할 때 기사 접수시간과 최초 노출시간, 기사선정 담당자 등을 투명하게 노출하는 제도를 말한다.

야당 의원들이 “여권이 포털 길들이기에 나섰다”며 강력히 반발하자, 김 장관은 “포털 길들이기가 아닌 포털 정상화가 맞다”며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제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은 “포털은 기사 생산자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나 야당이 문제 삼는 건 포털의 기사 배치, 유통에 대한 것으로 언론중재법의 영역이 아니다”며 “기사 내용을 가지고 문제를 제기하고 심의를 할 수 있지만 기사의 편집과 배치는 불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네이버 윤영찬 이사와 카카오 이병선 이사는 “공정한 편집을 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윤 이사는 “포털이 한쪽으로 정책 편향을 보이면 정치적으로 다른 반쪽의 이용자가 떨어져나가 위기가 닥친다”며 “편향적 편집을 할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 이사도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라 편향된 편집을 하는 것은 자살행위”라며 “공정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IT업계에서는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라며 반발하는 분위기가 주류를 이뤘다. 익명을 요구한 한 IT업체 관계자는 CNB와 통화에서 “결국 포털 뉴스의 배치 하나하나까지 감시하겠다는 것”이라며 “담당자들에게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