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김도읍 의원, 개발제한구역법 개정안 발의

공익사업으로 해제된 그린벨트 내 주택 소유자에게 이축권 부여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6.11.02 15:57:09

공익사업으로 인해 해제된 개발제한구역 내 주택 소유자에게도 이축권이 부여된다.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부산 북구·강서구을)은 공익사업으로 인해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지역 주민에 대해 주거·생활편익 및 생업을 위한 시설 등을 본인 소유의 개발제한구역내에 신축할 수 있도록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개정안(이하 개발제한구역법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


현행 법령상 개발제한구역내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기존 주택이 철거되는 경우 거주여부와 관계없이 철거당시 주택을 소유한 자에 해당하면 개발제한구역 내 자기 소유의 토지로 이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공익사업 시행과 함께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아무리 오랜 기간 동안 개발제한구역 내에 집을 소유하고 있었더라도 이축권을 제공 받지 못한 채 고향을 떠나야 하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 현행법은 도로 및 철도 건설 등 개발제한구역 해제 없이 사업이 가능한 공익사업으로 인해 주택이 철거될 시 본인 소유의 개발제한구역 내에 주거시설을 신축할 수 있도록 이축권이 주어지는 반면, 같은 공익사업이라도 친수구역사업 등 택지개발의 경우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사업을 실시하는 경우 본인 소유의 주택이 철거되더라도 이축권이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제는 지난 2012년 법제처는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보금자리주택사업의 경우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어도 주택 소유자는 이축권을 받을 수 있다고 유권해석이 내려진 바 있어 '개발제한구역법'의 비형평성에 대한 문제가 많이 지적돼왔다.


이에 개발제한구역 내 주택 소유자 뿐만 아니라 공익사업의 추진으로 인해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주택 소유자에게도 본인 소유의 개발제한구역내에 주거·생활편익 시설을 신축할 수 있도록 개정안을 마련한 것이다.


김도읍 의원은 “법은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나, '개발제한구역법'은 국민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개발제한구역내에 거주한 주민들이 합당한 보상 및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