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대학교복음병원(병원장 임학) 이비인후과 김성원 교수(사진) 연구팀이 암치료 시 수술을 하지 않고도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광열치료'라는 새로운 암 치료법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끈다.
일반적으로 암치료는 수술, 항암제 투여, 그리고 방사선 치료 등을 통해 이뤄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 치료법은 암세포만 건드리지 않고, 일반 세포에도 영향을 미친다. 암 환자들이 항암치료 과정에서 인체에 정상적인 면역기능이나 다른 기능이 망가져 떨어지는 이유다.
최근에는 이 때문에 암세포 부근만 국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김성원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광열치료'는 해양에서 유래한 '아스타잔틴'을 활용해 암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광열치료는 광열소재를 이용한다. 하지만 광열소재는 암 부위로 정확하게 전달되는 데 한계가 있고, 다른 장기에까지 독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임상에서 활용되기 어려웠다.
그래서 김 교수 연구팀의 '아스타잔틴'을 이용한 광열치료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아스타잔틴'은 자연에서 획득되는 천연물질이며, 안전하다.
'아스타잔틴'은 해양 미세 조류 또는 갑각류 등에서 유래한 천연 색소 물질로, 생체안전성이 확보된 항암 및 항염증 물질이다. 이 물질에 빛을 쬐어주면 아스타잔틴의 선택적 광흡수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이 암세포를 공격한다. 이때 올라가는 열의 온도는 주변 정상조직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아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김 교수는 부경대 의공학과 강현욱 교수와 공동으로 자연(해양)에서 유래한 인체에 무해하고 광학적 성질을 띠는 '아스타잔틴'을 이용한 동물연구에 성공했다. 동물 모델의 종양조직에 아스타잔틴을 투입하고, 빛을 쪼여 광열을 통해 암조직을 괴사시킨다.
이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지원하는 해양융복합 바이오닉스 소재 상용화 기술개발 연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PLOS ONE 4월호에 '화학-광열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해양 유래 물질인 아스타잔틴의 생체적합성 연구'로 게재된다.
(CNB=최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