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모 대형병원이 극심한 내홍에 휩싸이면서 내부 폭로가 나오는 등 개원이래 최대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폭로내용에는 주주들의 이익금 배분과 정책결정과정 같은 만감한 사안이 포함돼있어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 병원을 ‘비영리법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목포 모 병원 7명의 주주 의사 중 1명인 A원장은 최근 병원 내부 문제를 비판하는 동영상을 제작해 이를 외부에 유포했다. A 원장은 이 영상을 통해 “이 병원은 2016년 한해 이익금 배당을 주주의사 7명 중 개원시부터 있었던 3명이 24억원을 받았으며, 나중에 들어온 3명은 16억원, 본인은 직원처우개선 등의 의견을 말했다가 8억원을 받게됐다”면서 “총 545억원 규모로 이중 병원 감정가는 265억원이며, 230억은 보건복지부 지원금이고 50억원은 농협대출로 이뤄져있다. 실제로는 4명의 주주들이 5억원의 빚을 지고있음에도 과도한 배당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전남의 의료수준 향상을 위해 770억여원이 소요되는 치매전문병원과 권역감염병 전문병원개설 등 유치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전남도 등과 협의, 진전을 이뤘으나 일부 주주의사들의 반대로 무산됐다”며 “공공의료기관을 표방하는 병원으로서 무책임한 태도다. 비영리법인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비영리법인으로 전환할 경우 7명의 주주의사들이 6억원의 배당금을 가져갈 수 있으며, 남은 금액으로 직원임금 인상 등 복리후생에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A 원장은 또 이 병원의 향정신성의약품 관리 실태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 병원에서는 지난달 간호사가 향정신성의약품 졸피뎀과 졸피엠 125정을 훔친 사실이 발각됐으며, 지난 2015년에는 간호사가 일명 우유주사로 불리는 다량의 ‘프로포폴’을 자가 주사해 사망하기도 했다. 간호사뿐만 아니라 모 원장도 최근 마약류로 분류되는 의약품을 지난 2003년부터 장기간에 걸쳐 투약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전남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의 내사를 받았다. 하지만 해당 원장은 같은 병원 의사의 처방을 받아 마약류 의약품을 투약해 ‘혐의없음’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병원 관계자는 “마약류 의약품을 절도한 간호사는 경찰에 고발했으며 이 사건 이후에 3층 약국을 야간에는 출입하지 못하도록 폐쇄했고 약사도 야간에 상주토록 하고 열쇠도 없애버리는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수술방에서 남는 마약류는 전량 폐기하고 있다”면서 “최근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병원 마약류 관리 실태에 대한 집중점검을 받았으며 결과는 아직 정식으로 통보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다른 병원 관계자는 “권역외상센터가 의사와 간호사 인건비와 장비구입비를 보조받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병원도 추가 인건비 등 자체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과도한 이익분배금 지급에 대해서도 결산 후 발생한 이익금에 대해서 다음 연도 투자비를 공제하지 않은 부분이다. 이 돈으로 나중에 장비를 사는 등 재투자에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 병원의 이판사판식 내분과 A원장의 폭로에 지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임직원 850여 명이 근무하는 지역내 가장 큰 규모의 병원이 진료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지역민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주의사들 간 골이 워낙 깊어서 내분 봉합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은 목포시를 비롯한 지역의료계 등이 문제해결에 나서서 조속히 사태가 진정되기를 바라고 있다.
이 병원은 1988년 목포시 용당동에 79개 병동, 4개 진료과로 개원한 뒤 1991년 200병상 규모로 증설, 목포시 상동으로 신축이전했다. 2011년에는 응급의료전용헬기 배치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전남 서부권지역의 대표적인 대형병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