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서병수 부산시장 "기장해수담수화 시설, 정부가 책임지고 재가동해야"

가동 책임자인 두산중공업 철수로 대규모 국책사업 중단 위기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8.01.04 17:09:41

▲서병수 부산시장이 4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기장해수담수화 시설 가동중단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CNB 최원석 기자)


부산 기장해수담수화 시설이 가동 책임사업자인 두산중공업의 철수로 지난 1일부터 가동을 중단했다. 총사업비 1954억원(시비 425억)이 투입된 정부의 대규모 국책사업이 중단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에 서병수 부산시장은 4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수담수화 시설과 관련, 정부는 올해 국토부 예산에 편성조차 하지 않았다”며 "유지관리 비용의 손해까지 감수해야 하는 두산중공업이 당연히 철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국가가 나서서 만든 것이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기장해수담수화사업을 포기하는 것인지, 만약 포기한 것이 아니라면 시설 재가동을 위해 정부 차원의 확고한 의지와 책임 있는 행동을 보여야 할 것이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2014년 기장해수담수플랜트가 준공된 후 급수공급 계획 중에 기장해역 방사능 오염논쟁이 사회적 이슈화가 됨에 따라 수산물 판매감소 등 지역경제 악영향, 지역 내 찬·반 주민 계층 간 갈등과 반목이 지속되어 현재까지 두산중공업의 총 유지관리비용이 약 100억원 소요됐다.


현재 해수담수화 시설에 대한 소유와 운영권은 국가(국토진흥원)에 있으며, 시설에 대한 유지관리비를 부담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시는 2016년 12월 해수담수화 수돗물의 선택적인 공급방침을 발표했으나, 지난해 10월 정부의 급수 중단 방침에 따라 올해 유지관리비 부담주체 문제가 발생되어 국가 24억원, 부산시가 11억원을 부담하게 됐다.


해수담수화 시설 소유·운영 협약서(`13.12)에 따르면, 국토진흥원 주관으로 생산단가 절감을 위해 시행하는 공정고도화 연구개발이 종료되는 2019년 12월까지 국가 소유로 하고, 이후에 부산시로 무상양여된다.


서 시장은 “이대로 시설이 가동 중단되고, 엄청난 예산이 투입된 기장해수담수화사업이 흐지부지 된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국가의 책임”이라며 “부산시는 정부 차원의 해결책을 강력히 요구하며, 정부가 정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한다면 시도 지금까지 협력해 왔듯이 앞으로도 적극 협력해 나갈 것이다”고 입장을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