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구청장협의는 7일 성명을 내고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은 광주의 희망이 돼야 한다”주장했다.
구청장협의회(이하 협의회)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노ㆍ사ㆍ민ㆍ정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만들어진 광주 경제의 희망이다.”면서 “그러나 최근 일부에서 소통부재 등의 이유로 불참을 선언하면서 자칫 ‘광주형 일자리’가 태동도 못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면서 노동계 참여를 독려했다.
그러면서 “‘광주형 일자리’는 적정임금을 기반으로 노사 상생 문화를 정착시키고 일자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혁신적인 시도이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이며 국정과제”라며 “노동계는 열린 마음으로 ‘광주형 일자리’가 청년 일자리 창출의 모범사례로 침체된 광주 경제를 살릴 수 있는 현실적인 길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다시 대화에 나서주길 희망한다.”면서 노동계를 압박했다.
이어 “현대자동차는 ‘광주형 일자리’가 미래의 자동차 산업의 혁신성장을 가져오는 하나의 사례임을 직시하고 노동계 및 광주시와 긴밀하게 소통하여 완성차 합작법인 설립에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면서 “광주시는 노ㆍ사ㆍ민ㆍ정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한 소통과 지혜를 모으는 등 지역민의 바람과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또 “중앙정부는 광주형 일자리 완성차공장 합작법인 설립의 투자협상부터 공장 설립까지 모든 과정에서 아낌없는 행·재정적 지원을 요청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