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9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572돌 한글날 경축식 축사를 통해 “2005년 노무현 정부는 북한과 함께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시작했으나 남북관계의 기복으로 멈췄다”며 “이제 문재인 정부는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이어가려 한다”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9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572돌 한글날 경축식 축사를 통해 “2005년 노무현 정부는 북한과 함께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시작했으나 남북관계의 기복으로 멈췄다”며 “이제 문재인 정부는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이어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총리는 “세종대왕께서 한글과 땅을 주셨을 때는 우리 겨레가 하나였다. 그러나 세계냉전은 겨레와 땅을 두 동강 내 조국분단 70년은 말의 뜻과 쓰임새마저 남과 북에서 달라지게 바꾸고 있다”며 “남과 북이 달라진 것들을 서로 알고 다시 하나 되게 하는 일이 쌓이고 또 쌓이면 남과 북이 세종대왕 때처럼 온전히 하나 되는 날도 좀 더 빨리 올 수 있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 총리는 “세종대왕께서는 우리 겨레에게 우리 겨레만의 누리를 열어주셨다”며 “압록강과 두만강의 가장 북쪽 유역에 4군 6진을 두고 그곳에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해 한반도를 우리 땅으로 굳히고, 한글을 만들어 백성 누구나 제 뜻을 쉽게 펴도록 하셨다”고 말했다.
▲이낙연 국무총리(오른쪽)가 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열린 제527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사진=연합뉴스)
아울러 이 총리는 “이미 한글은 우리만의 글이 아니다. 한글을 가르치는 세종학당이 57개 나라, 174곳으로 늘었다”며 “세계의 젊은이들은 방탄소년단의 한글 노랫말을 받아 적고 함께 부른다. 정부는 자랑스러운 방탄소년단께 문화훈장을 드리기로 어제 국무회의에서 결정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이 총리는 “겨레의 말과 글을 지키고 다듬으며 가꾸는 것도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며 한글학회를 비롯한 학계, 시민단체와 함께 모두 다 애쓰자. 정부가 앞서겠다”고 제안하면서 “둘도 없이 값진 한글과 그것을 만들어주신 세종대왕의 고마움을 생각하는 오늘이 되길 바란다”고 축사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