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도민 70만명은 유사시에 주민이 대피할 민방위 시설이 전무한 상황으로 사실상 비상대피시설 확보 현황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의회 안전건설소방위원회 최선국 의원(더불어민주당, 목포3)은 “최근 전남도 도민안전실로부터 제출받은 ‘민방위 비상대피시설 지정현황’ 자료를 통해 전남 도민 70만명이 유사시 대피 공간이 없어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제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전남도의 읍면동 297곳 중 183곳이 대피소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피소 면적 대비 수용인원이 주민등록 인구에 미달하는 읍면동 역시 64곳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남도 면주민의 84%인 52만명은 유사시 대피할 곳이 전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최근 안전문제가 불거진 한빛원전 인근 지역 영광 백수읍과 화재 및 화학가스 누출 등의 피해가 빈번한 여수 국가산단 인근의 묘도동 등에도 대피시설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나 전남도 차원의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선국 의원은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보면 사실상 비상대피시설 확보현황에서 전남이 전국 최하위권이다”며 “재난대비 시설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남도가 관련시설 확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의원은 “지하시설 부족 등으로 공공대피소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읍면의 경우 관공서 및 민간건축물 신축 시 인센티브 부여 등의 적극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