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 재직자 자녀 중 부산에 있는 고교재학생이 4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부산 연제·교육위)은 부산 이전 9개 공공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직원 자녀 고등학교 재학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8월 기준으로 해당 기관 재직자 자녀 268명 중 부산 소재 고교재학생이 113명(43%)으로 조사됐다고 21일 밝혔다.
부산 이전 공공기관별 재직자 자녀 중 부산 소재 고교재학 현황을 보면,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38명 중 8명(21%)으로 가장 낮았으며, ▲한국예탁결제원 44명 중 12명(27%) ▲영화진흥위원회 7명 중 2명(29%) ▲주택도시보증공사 33명 중 11명(33%) ▲게임물관리위원회 7명 중 3명(43%) ▲기술보증기금 65명 중 28명(4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명 중 6명(55%) ▲한국남부발전 56명 중 38명(68%) ▲영상물등급위원회 7명 중 5명(71%)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 2011년에 부산으로 이전한 기술보증기금, 2013년에 이전한 영화진흥위원회, 영상물등급위원회, 게임물관리위원회, 2014년에 이전한 한국남부발전, 한국예탁결제원, 주택도시보증공사 등 가장 최근에 이전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2017)을 제외한 8개 기관은 부산으로 이전한 지 평균 6년이 넘어갔다.
김해영 의원은 "타 혁신도시보다 교육인프라가 뛰어난 부산임에도 고교생 자녀를 둔 다수 임직원은 수도권을 포기하지 못한 채 자녀와 떨어져 살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에 공공기관 임직원은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