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18년 자동차주행거리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자동차 주행거리는 3,271억km로 전년대비 2.3% 증가했다고 15일 밝혔다.
자동차등록대수는 22,188천대에서 22,882천대로 3.1% 증가한 반면, 자동차 1대당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39.5km에서 39.2km으로 0.7% 하락했다.
사용연료별 주행거리는 경유자동차가 164,264백만km로 전년대비 4.7% 증가, 사상 처음으로 전체 주행거리의 절반 이상인 50.2%를 차지했다.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116,952백만km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LPG차량의 경우 36,063km로 전년대비 4.9%가 감소했다.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의 경우 6,211백만km로 전년대비 33.7% 증가했으나, 전체 주행거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가 유일하게 0.7% 감소했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6.7%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주민등록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전년대비 지하철 이용객이 증가했으나 버스 이용객이 감소했고, 승용차 일반형과 화물차에서 주행거리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전년대비 주민등록세대수의 증가(13%)가 주행거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지난해 자동차주행거리 통계는 국가통계포털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공단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에서 일반인도 쉽게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며 "지난해 자동차주행거리 통계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과 연구원 등에 배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