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방경찰청은 고령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어르신 교통안전에 대한 대책을 중점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부산 전체 인구(349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7%(59만명)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중 고령자 비율은 인구비율의 2배가량인 33.8%를 차지하고 있어 고령자가 교통안전에 매우 취약하다.
특히, 전체 보행 사망자 중 고령자 비율(52.8%)이 월등히 높고 증가하는 추세이다. 고령 면허소지자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 면허소지자 비율 대비 고령운전자가 야기한 사망자 비율이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산경찰청은 고령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사고다발지역 관리 강화 ▲신호체계 및 제도 개선을 통한 보행권 확보 ▲교통안전 나누미의 확대 구성을 통한 찾아가는 교육·홍보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경찰청에서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고령운전자의 교통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전국 최초로 지난해부터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자진반납제도를 시행, 65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5,280명이 자진반납했으며, 올해도 지속 시행해 2월말 기준으로 1,200명이 운전면허를 자진반납했다.
75세 이상 고령운전자 면허 갱신 주기가 5년에서 3년으로 단축됨과 동시에 교통안전교육 의무화로 '인지능력 자가진단'을 통한 운전능력에 대한 자가 진단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부산경찰은 부산시, 도로교통공단 3자간 협의체를 구성해 운전능력 자가진단 교육자 상대로 운전면허 자진 반납제도 홍보 및 유도를 위해 운전면허 시험장에 전문상담사 1명을 배치한다.
부산시 예산협조로 고령운전자 교통안전의무교육 수료자 중, 현장에서 운전면허 자진반납한 대상자에게 10만원권 교통승차권을 즉시 지급할 계획이며, 자진반납자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방안을 더욱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부산경찰청은 "고령보행자·운전자, 어린이, 장애인 등 교통약자에 대한 교통안전활동을 강화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 다발지점에 대한 지역별·시기별 맞춤형 교통안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의 적극적인 관심을 유도해 교통사고 예방 협업체제 강화를 통해 지난해 노인 교통사고 감소율(39.7%) 전국 1위의 성과를 올해에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