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대학교 장애인 무용단 ‘품(品)’이 진한 감동과 꿈,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며 ‘지을작品’ 첫 정기공연과 ‘예술品’ 전시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3일 경성대 콘서트홀에서 1부(13:30~14:30)와 2부(19:30~21:00) 총 2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공연에서는 3개월의 창작무용 교육과정을 거쳐 예비 예술가들의 품격 있는 작품을 선보였다.
‘지을작品’ 공연은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짧은 여덟 이야기를 늘어놓아 한편의 작품으로 만든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꾸며졌다. 다함께 차차차 친구들의 합창무대인 ‘서랍 속에서의 시작’으로 무대를 열며, 품 무용단과 ADD댄스컴퍼니들의 협업으로 진행된 ‘세상 밖으로’와 다양한 영상과 무대를 활용한 ‘모두가 친구가 될 수 있지’로 이야기가 이어졌다.
‘색안경 벗기’는 틀린 그림 찾기의 영상이 나오며 관객과 무용수가 함께 참여하는 공연으로 모두가 공연을 즐길 수 있었으며, 이후 연무용단과 전문 무용수와의 한량무의 합작으로 무대를 꾸려나갔다.
‘혼자서도 일어날 수 있어’에서는 조명과 막을 이용한 그림자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품 무용수와 전문 무용수의 움직임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무대가 선보여졌다.
이후 ‘보석을 심어 꽃이 피길 기다렸다’에서는 품 단원 학부모들의 아름다운 움직임과 품 단원들의 성장과정 영상이 필름처럼 지나가며 큰 감동을 안겼다. 무대의 끝자락에는 관객석에서 품 단원 중 한 아버지가 담담한 나레이션을 읽어 관객들에게 잔잔한 울림을 전했다.
작품의 끝자락에 진행된 ‘너를 품으니’는 품 단원들과 ADD댄스컴퍼니 그리고 중구청 아라 무용단의 협업으로 진행됐다. 단원들은 하나가 돼 포용하는 움직임으로 무대를 꾸려갔다. ‘우리는 모두가 세상의 다른 보석이랍니다’에서는 마림비스트 심영건 씨의 마림바 연주와 전 출연진의 그림 같은 모습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날 공연에는 부산 전역의 초·중·고교와 복지관 및 장애인협회 등에서 약 800명의 관객이 1, 2부의 공연을 관람했다. ‘예술品’ 전시회는 예비 장애인예술가들의 창의적이고 재능이 담긴 작품 21점이 전시됐다.
다함께 차차차 책임교수 최승준 교수는 “앞으로 펼쳐질 다양한 우리의 아름다운 몸짓이 어떠한 감동으로 다가올지 많은 기대와 관심을 가져주시고, 이 무대를 위해 노력한 모두의 결실에 큰 박수를 부탁한다”며 “오늘 공연에 참석한 여러분의 관심이 무용단 단원들의 삶에 큰 격려와 응원으로 기억될 것으로 믿는다”고 전했다.
품 무용단장 최정화 씨는 “첫 정기공연을 출발점으로 장애인 무용단으로써서 예술성과 대중성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을 대표하고 나아가 국내 최고의 장애인무용단으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또한 앞으로 나아갈 품 무용단의 발걸음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했다.
한편, 경성대학교 장애인 무용단 품은 부산시의 지역사회 상생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9월 발달장애인들의 문화체육활동을 증진하고 나아가 장애인의 인식개선을 위해 창단된 부산 최초 장애인 무용단이다. 경성대 스포츠건강학과에서 이를 전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