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인 지난달 말 기준, 파생결합사채(ELB)를 포함한 주가연계증권(ELS)의 미상환 발행잔액이 총 72조 3274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예탁결제원은 ‘2020년도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상환 현황’을 17일 발표하고 1분기 ELS의 미상환 발행잔액이 직전분기 대비 1.8%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대비 3.0% 감소했다고 밝혔다.
올 1분기 ELB를 포함한 ELS 발행금액은 총 20조 9635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38.8%(13조 3036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년동기 대비는 5.5%(1조 937억원) 증가했다.
발행 형태별로는 전체 발행금액 가운데 공모가 18조 3117억원으로 가장 많은 87.4%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사모가 나머지 12.6%(2조 6518억원)를 차지했다.
공모 발행금액은 직전분기 대비 42.2%(13조 3834억원) 감소한 반면 사모 발행금액은 직전분기 대비 3.1%(798억원)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홍콩시장지수를 제외한 해외 주요지수의 ELS 발행금액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EURO STOXX 50의 기초자산 ELS는 총 14조 8838억원 발행돼 직전분기 대비 8.7%(1조 4248억원) 감소했다.
또 S&P 500의 기초자산 ELS 발행금액은 14조 3427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31.6%(6조 6349억원) 감소했으며 KOSPI 200의 기초자산 ELS도 6조 1998억원 발행돼 직전분기 대비 39.0%(3조 9595억원) 감소했다.
상위 5개 증권사가 전체 발행금액의 61.2%를 차지하는 현상도 보였다. ELS는 전체 22개사가 발행했으며 이 가운데 삼성증권이 3조 981억원으로 가장 많이 발행했고 삼성증권을 비롯한 상위 5개 증권사가 12조 8212억원을 발행해 전체의 61.2%를 차지했다.
1분기 ELS 상환의 경우 금액은 19조 8926억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44.0%(15조 6200억원) 감소했다. 반면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8.9%(1조 6277억원) 늘어난 수치다.
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16조 5232억원으로 83.1%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만기상환이 12.9%(2조 5689억원), 중도상환이 4.0%(7914억원)를 기록했다. 직전분기 대비 만기상환은 79.9%, 조기상환은 26.1% 각각 감소했으나 중도상환은 135.9% 대폭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