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20.04.20 17:28:08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대표회장 염태영 수원시장)가 "현재 중앙정부가 지원예정인 긴급재난지원금은 신속한 지원과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선별지급이 아닌 보편지급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난에 대한 긴급한 지원을 목적으로 하므로 지원속도가 관건이고, 특히 현재의 지방정부 일선현장의 상황을 고려할 때, 보편지급이 현실적이라는 주장이다.
전국협의회는 "선별지급은 지급기준에서 문제점이 많다. 코로나19 때문에 소득이 줄었는데 지급기준은 코로나19 훨씬 이전의 자료를 활용하는 문제, 선별과정에서 행정비용이 과다한 문제, 지급대상 여부에 따른 계층간 편가르기 문제, 선별과정에서의 정확한 피해대상자를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한 점, 장기간의 자산조사와 긴 시간 소요 등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쟁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어, 전국협의회는 "선별적 지급을 통해 재정부담을 덜고자 하는 의도는 이해할 수 있으나 실제 자산조사 과정에서 상당한 행정비용과 시간소요가 유발돼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급이 어렵다. 선별급여시 행정소요기간을 추정하면 최소 보름 이상이 소요되며, 신청 서류 안내 등과 판정 이후 지원불가에 대한 민원 반발 대응까지 고려하면 1달 이상이 소요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기초지방정부의 경우, 비상대응에 들어간 지 오래 경과됐고,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고 새로운 사업을 수행하면서 이미 업무한계를 넘어선 상태로 진단했다. 이미 수용가능한 업무총량을 넘어선 상황에서 현재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긴급재난지원금의 선별적 지급은 문제가 많다고 협의회는 언급했다.
전국협의회는 "만일 선별급여를 실시할 경우, 행정의 최일선에 있는 기초지방정부는 현재의 인력구조상 다른 공공서비스 제공의 마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염태영 대표회장은 “지금과 같은 비상한 시국에서는 선별지원은 문제가 많다. 그에 비해 보편지급은 코로나19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전 계층에 대한 국가의 서비스로 본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긴급재난지원금은 신속한 지원과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보편지급을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