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지역 뉴딜 산업 육성 위해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필요”

부산시 디지털 바우처·자산거래소 설립 및 공공분야 블록체인 도입 추진 TF팀 구성 등 제시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5.11 15:31:11

블록체인 기술과 관계산업의 ‘하이프 사이클’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블록체인을 ‘부산형 뉴딜 디지털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11일 BDI 정책포커스 ‘부산 디지털 산업의 신성장동력, 블록체인 생태계’ 보고서를 발표하고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필요성과 이를 위한 부산시의 과제를 제시했다.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가 디지털 산업을 포함한 범국가적 대형 사업을 추진할 계획인 가운데 블록체인이 ‘부산형 뉴딜’ 디지털 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블록체인 시장은 암호 화폐를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화폐에서 유·무형 자산의 공유, 유통, 거래 플랫폼으로 발전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해외 블록체인 시장의 경우 오는 2022년엔 약 106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와 함께 부산은 지난해 정부로부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현재 물류, 관광, 공공안전, 금융 4개 분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한국형 뉴딜 사업이 본격화하게 되면 디지털 산업 핵심 아이템으로 블록체인을 집중 육성할 여건은 갖춰진 셈이다.

보고서에는 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의 추진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향후 선정될 블록체인 2차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민간 확산을 가속화하며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에 영향을 미칠 요소를 선제적으로 찾아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구윤모 연구위원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의 중장기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 ‘부산시 디지털 바우처, 자산거래소’ 설립을 고려할만하다. TF팀 구성으로 부산시의 안전, 복지 등 행정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시민 편의를 높일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블록체인 기술, 사업을 널리 알릴 사례나 아이템 개발, 홍보가 필요하다. 블록체인 생태계 발전 방향을 선도할 기업의 부산 유치와 블록체인 관련 스타 인사의 영입, 초청도 고려할만한 요소”라고 조언했다.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위한 우선 지원 정책 요소에 대한 전문가 수요조사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