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5.11 15:46:13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코로나19 감염증의 세계적인 확산과 장기화에 따른 해운사의 경영 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총 66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을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해양진흥공사에 따르면 이번 유동성 지원은 해양수산부가 지난달 23일 발표한 ‘코로나19 대응 해운업 추가 금융지원 대책’의 후속조치로 마련된 것이다.
공사는 지난 8일 ‘제7차 이사회’를 열고 해운사의 경영 안정화를 위한 회사채 매입, 선박 매입 후 재대선(S&LB) 확대, 선박 금융 후순위 투자 시행 등 5개 분야의 지원 방안을 확정했다고 전했다.
지원 내용으로 우선 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S&LB 사업 지원 조건을 한시적으로 완화해 운영한다. 선박의 담보안정비율(LTV)을 최대 90%까지 상향하며 시행 후 6개월까지 원리금 상환 유예도 가능하다.
또 해운사가 보유한 기존 선박에 대한 후순위 투자로 총 1000억원의 유동성을 추가 공급한다. 공사는 선박의 LTV를 최대 95%까지 적용하고 기존 금융 잔액을 차감한 선박 잔여가치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해운사의 자금 경색을 완화할 계획이다.
이어 신용보증기금(신보)의 ‘코로나19 회사채 발행 지원 프로그램’에 공사가 특별출연, 후순위 유동화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해운사 편입 비중을 최대 260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려 공급한다.
이외에도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중소선사에 공사가 회사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총 1000억원 규모의 긴급 유동성 자금을 공급한다. 또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해운사간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피인수·합병기업에 직접 투자하거나 인수·합병기업에 최대 1000억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