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창원 복선전철 '전동 열차가 적합'…선호도 70%

서울대 산학협력단, 부산~창원 통행권역 내 교통 수단별 선호 설문조사 결과…기존 승용차 수송 분담율 45% 흡수

  •  

cnbnews 최원석기자 |  2020.07.28 16:53:09

부산~창원 통행권역 내 교통 수단별 선호 설문조사 결과. (자료=경남도 제공)

부산(부전)~창원(마산)구간 복선전철에 전동열차 도입시 승용차 수송 분담율 45% 흡수로 창원~김해~부산간 교통정체를 대폭 해소해 동남권 단일 생활권과 광역경제권 구축의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남도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수행중인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용역'의 부산~창원 통행권역내 교통 수단별 선호도 설문조사(6.22.~26.)를 통해 이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28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창원 부산간 등 5개 구간별(창원↔부산, 마산↔부산, 김해↔부산, 창원↔김해, 마산↔김해) 교통 이용수단은 승용차 62%, 시외버스 25%, 철도(경전철) 10%, 택시 3% 비율의 이용패턴을 보였다.

특히 해당 구간에 준고속열차와 전동열차 도입 시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할 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70%가 전동열차를 꼽았고 다음으로 승용차(17%), 시외버스(5%), 준고속열차(5%) 순으로 나타나 전동열차 도입에 대한 지역 주민의 높은 수요와 기대를 알 수 있었다.

준고속열차의 선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설문 항목에서는 준고속열차의 긴 배차간격(90분)을 가장 많이 선택(72%)하였고, 다음으로 통행요금이 비싸(10%)다는 점을 꼽았다.

장영욱 미래전략·신공항사업단장은 “전동열차 선호도가 70%에 이르는 것은 열차운행 배차간격을 기존 90분에서 20분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설문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도민 여론을 반영하여 부산(부전)~창원(마산) 복선전철에 국가운영 전동열차가 도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통연구실에서 수행했으며, 온라인 방식으로 총 1047명이 참여, 부산↔김해↔창원간 5개 구간별 통행수단을 조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