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5일 ‘2021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내년 한국경제가 부진한 회복세를 나타내며 2.7%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코로나 사태 향방이 경제 전망의 가장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감안해 코로나 전개 양상 및 봉쇄 강도에 초점을 맞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2021년 전망을 실시했다.
백신 개발이 진전되는 Good 시나리오 하에서는 내년 성장률을 3.6%(2020년 –0.9%)로 예상했고, 확산세가 완화(국지적 감염은 지속)되는 Base 시나리오 하에서는 내년 성장률을 2.7%(2020년 –1.1%)로 전망, 겨울 2차 대유행이 발생하는 Bad 시나리오 하에는 내년 성장률을 0.2%(2020년 –1.8%)로 내다봤다.
연구소는 Base 시나리오에서도 소비와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세가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며 내년 성장률이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 이후 평균(2011~2019년 2.9%)에도 못 미치는 2%대 중후반에 머물 것이라는 것.
2020년 성장률이 –1%대라는 점을 감안할 때 2020~2021년 평균 성장률은 0%대를 나타낼 것으로 관측했다.
정유탁 연구위원은 “소득여건 악화와 취약계층 피해 확산 등으로 소비 회복이 제한적인 가운데 해외수요의 부진한 회복에 따라 수출 개선도 미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