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1인 가구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관련 시장이 성장하면서 우리 기업들도 프리미엄 전략을 바탕으로 소포장, 스마트 가전, 명품 등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4일 발표한 ‘중국의 싱글 이코노미’에 따르면 중국의 1인 가구는 2015년 5392만 가구로 전체의 13.1%를 차지하던 것이 2019년 8610만 가구, 18.5%로 크게 늘었다. 올해 약 1억 가구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자유분방하게 자라난 빠링허우(80년대생)와 지우링허우(90년대생) 세대에서 전통적인 결혼 관념을 벗어나 만혼 또는 비혼이 증가하고 이혼율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싱글경제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소포장 식품, 소형가전 및 스마트가전, 명품 관련 시장 등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협회 측에 의하면 2019년 주류, 쌀 등 소포장 식품과 인스턴트 식품 판매량은 각각 전년대비 30%, 50% 증가했고, 반조리 식품의 판매량은 111%나 증가했다. 좌석별로 칸막이가 있거나 혼자서도 음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 ‘1인 식당’도 늘고 있다. 2020년 중국에서 기업명, 경영 범위, 제품 서비스, 상표 등에 ‘1인식’을 포함해 신규 등록한 업체는 79개사로 전년대비 82%나 증가했고, 올해 3월 기준 총 184개 기업이 1인식 관련 기업으로 등록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20년 소형 전기밥솥, 믹서기, 전자레인지, 전기포트 등의 온라인 판매액은 전년대비 9.4% 증가한 366억 위안(한화 약 6조원)에 달했다. 2019년 인공지능 스피커, 스마트 손세정기, 스마트 휴지통 등 제품 생산량도 전년대비 110% 증가한 4589만대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