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전남도,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국산화 박차

  •  

cnbnews 박용덕기자 |  2021.06.14 16:26:32

전라남도청.(전남도)


200억 규모 공모 선정…기업 공동활용 가능한 시생산 설비 구축

전라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1년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100억 원을 확보, 부품 국산화 지원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초소형 e-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고, 1∼2인이 탑승 가능한 초소형전기차, 전기이륜차, 농업용운반차 등 미래형 교통 이동수단이다.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 구축사업이 선정됨에 따라 오는 2023년까지 총 200억 원을 들여 영광 대마 전기차 산단에 중소기업이 공동 활용 가능한 e-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센터와 시설·장비를 갖출 예정이다.

주요 구축 장비는 ▲초소형 e-모빌리티 내·외장 플라스틱 부품 시험 생산용 사출성형기 ▲공용 플랫폼 프레임 및 차체 부품 등의 조립·용접설비 ▲차량 내·외장재 및 부품의 전착 도장시설 등이다.

현재 초소형 e-모빌리티 부품은 해외 의존율이 높다. 초기 생산기술과 자본이 취약한 국내 e-모빌리티 중소기업의 경우 다품종 소량생산하고 있어 중대형 생산설비 구축 등에 큰 어려움이 있다.

전남도는 e-모빌리티 중소기업의 수요와 활용성을 고려한 범용 시설·장비를 구축하고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핵심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원가 절감 효과를 이끈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난 2019년 시작해 올해까지 329억 원을 들여 추진하는 ‘초소형전기차 개방형 공용플랫폼 개발사업’ 성과물의 시생산·시제작과 연계 활용해 모듈화한 제품 양산화 및 조기 사업화도 지원한다.

이밖에 부품 시생산 지원기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e-모빌리티 기업의 참여ㆍ출자로 이뤄진 ‘협동조합’을 연내 설립한다. 관련 기업 간 생산·제조기술 등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어 기술력 향상 및 부품ㆍ완성차 협력체계 강화, 신규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할 전망이다.

윤병태 전남도 정무부지사는 “초소형 e-모빌리티 공용 부품 양산을 위해 필수적인 공정설비를 전남에 구축하게 됐다”며 “e-모빌리티 관련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해 전남이 e-모빌리티 국산 부품 생산의 중심지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0월 영광 e-모빌리티 기업인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제기된 기업의 공통 애로사항에 대해 윤병태 부지사가 적극 나서 중앙부처를 설득하고, 국회 예산심의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선정됐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