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이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전력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도 이를 기회로 삼아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5일 ‘베트남 전력 산업의 현재와 미래: 360조 베트남 전력 시장을 잡아라!’를 통해 베트남이 오는 2045년까지 풍력·액화천연가스(LNG)·태양광 등 청정에너지와 송배전 등 전력 시장에 3200억 달러(약 360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혀 베트남 전력망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트남 경제가 2045년까지 연평균 6% 내외로 성장할 경우 전력 소비량은 2020년 217TWh(테라와트시)에서 2045년 877TWh로 증가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전력 소비량 증가에 맞춰 발전 설비용량도 2020년 69GW(기가와트)에서 2045년 277GW로 4배가량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베트남의 발전 설비용량 확대는 풍력, LNG,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라면서 “풍력 설비용량은 작년 0.6GW에서 2045년 61GW로 증가하고, LNG는 2025년 4GW에서 2045년 59GW로, 태양광은 2020년 17GW에서 2045년 55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무역협회 정귀일 연구위원은 “베트남 전력시장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8.5%씩 고성할 것으로 예상돼 우리 기업들에게 진출 여지가 크다”면서 “민간에서는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기반으로 동반 진출을 강화하고 정부는 공적개발원조(ODA), 개발은행 투자 유치, 기업 지원체계 고도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