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부산항 신항 서 컨테이너(컨) 부두를 운영할 운영사에 ‘동원신항컨테이너터미널 컨소시엄(가칭)’을 선정하고 지난 29일 임대차 가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BPA는 공개경쟁 입찰을 거쳐 지난달 20일 동원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바 있다. 이후 임대차 가계약서의 세부 내용에 대해 협상을 진행해왔다.
이번 협상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진행됐던 1차 공모 당시에는 쟁점이 됐던 북항 물량 이전에 대한 협상이 길어졌다”며 “그러나 이번 우선협상대상자는 북항에서 처리하던 물량 100%를 신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시해 지난 1차 공모 시 쟁점이 됐던 북항 물량 이전 문제가 해소돼 협상 기간이 짧아졌다”고 설명했다.
동원 컨소시엄은 서 ‘컨’ 부두 2-5단계 운영 개시 시점인 오는 2023년 7월부터 30년간 ‘2-5단계’ ‘2-6단계’ 및 피더부두를 통합해 총 6개 선석 규모의 부두를 운영한다. 그러면서 BPA가 설치할 예정인 컨테이너 크레인 9기 등 자동화 장비를 활용해 첨단 하역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BPA는 이번 임대차 가계약 체결을 통해 그간 추진해온 부산항 북항과 신항에 대한 정부 정책을 적극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북항은 부산항 대교 외부로 ‘컨’ 전용부두를 재배치해 ‘컨’ 기능을 신항으로 이전하게 되며 신항은 타부두 환적 최소화와 얼라이언스 대형화에 대응하기 위해 부두 통합 운영으로 돌아선다.
남기찬 BPA 사장은 “물량 창출에 대한 추가 검증, 법적 타당성 검토, 항운노조와의 협의 등 해양수산부 요청 사항을 최대한 추진했다. 특히 ‘컨테이너 부두 기능의 단계적 신항 이전’이란 정부 정책에 부합했다”며 “또 항만 일자리 안정, 신항 운영사 통합 기반 마련, 신항 터미널의 외국 자본 과다문제 해소, 재정 건전성 확보 등 종합적으로 봤을 때 이번 가계약 체결이 최적의 방안으로 판단했다. 북항 인력 이전에 대해선 노-사 간 항만 근무자의 일자리 안정에 문제가 없도록 최대한 협조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