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10.06 16:17:15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국내 한계기업의 회생 개시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한계기업 회생 개시 결정 가능성 추정 실증분석’ 논문을 KCI 등재 학술지 ‘경영경제연구’에 게재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캠코는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한계기업의 기업 규모, 총자산증가율, 부채비율 등 정보를 활용해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을 선별할 방안을 제시했다.
한계기업의 기준은 영업이익을 금융(이자) 비용으로 나눈 수치인 ‘이자 보상 배율’이 1이 안되는 기업으로 해당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뜻한다.
논문에서는 ‘회생 개시 결정’ 여부를 기업 경영정상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지표로 간주하고 지난 2010~2017년간 총 3827개 한계기업 정보를 활용해 개발한 추정모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실제 회생 개시 결정을 받지 못한 한계기업 예측률이 최대 93.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캠코는 코로나19로 인한 대출만기 연장, 원리금 상환유예 프로그램 종료 이후를 대비해 한계기업 구조조정과 함께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큰 중소기업 선별지원이 가능하리라고 전망했다.
문성유 캠코 사장은 “기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한계기업 경영정상화 가능성을 예측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했다”며 “앞으로 지원 신청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정과 지원과정에서 타당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예측모형 활용 방안을 검토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